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시중 은행서 경매 신청한 아파트 연중 최다 기록

반응형
제1금융권인 시중 은행들이 법원에 경매를 신청한 전국 아파트 물건 수가 지난 10월 연중 최다를 기록했다.

15일 부동산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10월 경매가 진행된 전국 아파트는 총 5016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은행이 경매신청자인 물건은 29.1% 수준인 1458개였다.

이는 월간 기준 연중 최다 물량으로 매달 1100~1200개 수준에서 200개 이상 늘어난 수치다. 최근 몇 년간 은행에서 경매 신청한 아파트의 물건 수가 감소 추세에 있던 것과 배치되는 모습이다.

시중 은행의 경매 신청 전국 아파트 물건 수는 2008년 4만1554개을 기록한 이후 2010년 2만6518개, 2012년 1만3679개 등으로 지속적으로 줄어 왔다. 하지만 올해는 10월 말 기준 이미 1만2167개가 경매 신청된 상황으로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은행권의 경매 신청 아파트 물건 수가 늘고 있는 데는 연말을 앞두고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 부실채권 정리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본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보유 중이던 부실채권을 매각하거나 대법원부동산경매를 신청하는 케이스가 늘고 있는 것.

실제, 은행에서 경매로 넘긴 아파트 수는 1월 1209개, 4월 1427개, 7월 1234개 등 대체로 분기가 시작되는 달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법원에서 제공 중인 연도별 매각통계(9월까지 공개)를 보더라도, 올해 경매 접수건이 가장 많았던 달은 4월(1만1332건)과 7월(1만1266건)이었다.

은행의 아파트 경매 신청 건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전셋값 상승으로 아파트 경매시장으로 실수요자들이 대거 유입됨에 따라 아파트 낙찰소요기간은 줄고 낙찰가율은 오르는 등 채권회수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서다.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10월 경매 진행된 전국 아파트 물건의 평균 낙찰소요기간은 54일로 올해 평균(61일)보다 1주일이 빨라졌다.

결국, 예전에 비해 조금이라도 더 많은 원금을 더 빨리 회수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만큼 은행 입장에서는 부동산경매 신청을 늘리면 늘렸지 줄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경매시장에 우량한 물건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라며 "다만, 물건의 옥석 가리기가 중요한 만큼,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