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상 차리는 법. 사진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
추석을 맞아 차례상 차리는 법이 네티즌들 사이에 관심을 받고 있다.
한가위로 불리는 추석 명절은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이날 우리는 한복을 입고 차례를 올리는 등 조상의 음덕을 기리고 있다. 이와 함께 차례상 차리는 법을 소개한다.
먼저 지방이 있는 쪽부터 첫 줄에는 시접(숟가락 담는 대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메(밥)를 올린다.
둘째 줄에는 적과 전을 놓는데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육류는 왼쪽, 생선은 오른쪽에 놓는다. 육적(구운 고기), 소적(두부 부친 것), 전(기름 에 부친 것), 어적(생선구운 것)을 놓는다.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을 향하게 하는 것이 기본원칙이다.
셋째 줄에는 고기탕, 생선탕, 두부탕 등의 탕류를 놓고 넷째 줄에는 좌포우혜(左鮑右醯)라 하여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를 놓는데 왼쪽부터 포, 나박김치, 삼색나물, 간장, 식혜를 올린다.
다섯째 줄에는 조율이시(棗栗梨枾) 원칙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곶감 등의 과일과 약과, 강정을 진설한다.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인 사과는 오른쪽에 놓지만 대추를 오른쪽에 놓기도 한다.
이외에 꼭 기억 해야 할 것이 몇 가지 있다.
1. 차례상에 복숭아는 올리지 않는다. 털이 있는 과일은 귀신을 쫓는다는 믿음 때문이다.
2.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3. 잉어, 붕어 등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
4. 고춧가루 등 붉은색 양념은 쓰지 않는다.
5. 마늘 등 향이 강한 양념은 쓰지 않는다.
6. 짜거나 맵게 양념하지 않는다.
7. 간장 대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8.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
한편 차례상 차리는 법은 온라인 커뮤니티나 차례상 전문 업체의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조현정 기자 jhj@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띠별 운세] 9월 17일(음력 8월 13일) (0) | 2013.09.17 |
---|---|
[날씨] 맑고 일교차 커…내륙 아침 안개 (0) | 2013.09.16 |
로또563회당첨번호 ‘5, 10, 16, 17, 31, 32’ ..1등 당첨금 무려 19억3273만원 (0) | 2013.09.16 |
[날씨] 전국 맑음…내륙 아침 안개 (0) | 2013.09.16 |
오늘의 띠별 운세] 9월 16일 월요일(음력 8월 12일)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