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과일은 '감귤'

반응형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과일은 감귤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5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감귤 소비량은 14.3㎏로 모든 과일을 통틀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감귤 범주에는 노지 온주와 하우스 온주 등 일반 감귤뿐 아니라 한라봉, 천혜향 등도 포함되지만 수입 오렌지는 제외된다. 

지난해 감귤에 이어 사과(9.4㎏), 포도(6.5㎏), 배(5.5㎏), 복숭아(4.2㎏), 단감(3.7㎏) 순으로 소비량이 많았다. 

1980년 4.2㎏에 그쳤던 1인당 감귤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해 2007년 16㎏으로 정점을 찍고서 2010년 이후에는 12∼14㎏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사과가 줄곧 국내 과일 소비량 1위를 달리다가 1990년대 후반 들어 감귤이 사과를 역전하기 시작했다.

사과 소비량은 1980년 10.8㎏에서 지난해 9.4㎏로 오히려 줄었다. 과일 소비도 1995년 15.8㎏까지 늘었다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점점 먹기 편한 과일을 선호하는 소비 환경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과나 배는 깎아 먹어야 하지만 감귤은 손쉽게 먹을 수 있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다"며 "과일 소비 추세가 변하면서 감귤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늘어 1인당 소비량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 전체 과실류 소비량은 1980년 22.3㎏에서 2014년 66.5㎏로 3배 가까이 늘었다. 과일 소비량 증가율은 1990년대 연평균 2.8%에서 2000년대 이후 0.7%로 다소 둔화했다. 

[이 기사는 연합뉴스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