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11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시장은 비수기, 거래 소강상태 속에 가격 변동이 거의 없이 보합세를 유지했다. 20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아파트값은 주간 0.07%의 변동률을 보이며 지난주 0.09%보다 0.02%포인트 상승폭이 축소됐다. 신도시는 0.05%에서 0.04%, 경기·인천은 0.03%로 상승폭이 확대되지 않았다. 매매가격이 46주(서울 기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층의 피로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더욱이 이달 들어서는 공급과잉과 가계부채 등 논란이 일면서 거래시장의 관망세가 가격 상승폭을 제한하는 모양새다.
전세시장 역시 계절적 비수기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서울 0.16% ▲신도시 0.02% ▲경기·인천 0.05% 등 모두 상승폭이 커지지 않았다. 다만, 재계약이나 월세전환 등으로 전세시장의 국지적 불안양상은 이어졌다.
서울 매매 가격은 양천구가 0.23%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중구 0.19% ▲강남구 0.13% ▲동대문구 0.11% ▲서대문구 0.10% ▲노원구 0.09% ▲성북구0.09% ▲송파구0.09% 순이었다. 양천구는 목동 신시가지2·3·4 단지가 500만~2500만원 가량 올랐다. 목동택지개발사업지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 발주 소식으로 재건축을 기대하는 투자자의 문의가 이어졌다. 중구는 황학동 롯데캐슬베네치아가 면적별로 1000만~2500만원가량 상승했다. 강남구는 수서동 까치진흥, 개포동 우성3차, 일원동 푸른마을 등이 500만~2500만원 정도 오른 가격에 거래됐다.
반면 강동구와 금천구는 각각 -0.08%, -0.05% 소폭 하락했다. 강동구는 둔촌동둔촌주공1·2·3·4단지가 250만~1250만원 정도 떨어졌다. 조합원 분양신청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당초 예상보다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나면서 매매가격이 약세를 보였다. 금천구는 시흥동 벽산타운1단지가 250만~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매수세가 줄면서 거래시장이 한산해진 영향이다.
신도시는 광교가 0.21%로 상승폭이 가장 높았고 ▲일산 0.06% ▲중동 0.06% ▲동탄 0.04% 순으로 이어졌다. 광교는 내년 2월 신분당선 연장 개통이 임박해지자 매수자의 관심이 높다. 여기에 최근 전셋값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며 매매에 관심을 돌리는 수요자가 많다. 이의동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와 광교e편한세상 등이 1000만원 가량 올랐다. 일산은 백석동 백송5단지삼호풍림, 주엽동 강선14단지두산 등의 중소형면적이 250만~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중동은 중동 복사골건영1·2차 등이 750만원 가량 올랐다.
경기·인천은 파주가 0.12% 가장 높고 ▲평택 0.08% ▲안산 0.06% ▲의정부 0.06% ▲오산 0.06% ▲부천 0.05% ▲시흥 0.05% 순으로 상승했다. 파주시는 매매전환 수요 영향으로 동패동 파주상록데시앙, 목동동 월드메르디앙1차가 500만~1000만원 가량 올랐다. 평택시는 입주할 수 있는 매매물건을 찾는 문의가 이어지면서 독곡동 삼익2차, 세교동 태영청솔, 지산동 KCC스위첸 등이 3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안산시는 사동 푸른마을4·5단지 등이 250만~1000만원 가량 증가했다.
서울 전세는 중구가 0.77% 상승해 가장 높았고 ▲양천구 0.67% ▲강남구 0.29% ▲동작구 0.28% ▲관악구 0.23% ▲마포구 0.21% ▲동대문구 0.19% 순으로 나타났다. 양천구는 목동 목동신시가지3단지, 신정동 목동신시가지9단지가 1000만~5000만원 가량 올랐다. 월세와 반전세 위주로 매물이 나오면서 대규모 아파트지만 전세매물이 귀하다. 중구는 황학동 롯데캐슬베네치아, 회현동1가 남산롯데캐슬아이리스 등이 1000만~5000만원 상승했다. 역세권의 도심아파트로 전세입자의 문의가 꾸준하다. 강남구는 대치동 쌍용1차, 수서동 까치진흥, 일원동 목련타운 등이 1000만~5000만원 정도 올랐다. 동작구는 사당동 극동, 신동아4·5차 등이 500만~2000만원 증가했다.
- ▲ 수도권 매매-전세 주간 가격 변동률./부동산114
신도시는 광교가 0.36%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일산 0.06% ▲김포한강 0.04% ▲산본 0.01% 순이었다. 광교는 이의동 광교e편한세상, 광교자연앤자이2단지, 래미안광교 등이 500만~1500만원 가량 일제히 올랐다. 일산은 주엽동 문촌1단지우성이 1000만원, 김포한강은 장기동 고창마을반도유보라가 500만원 정도 상승했다. 반면 동탄은 반송동 시범다은포스코더샵, 능동 숲속마을모아미래도2단지가 500만~3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 여파로 전세물건에 여유가 있다. 평촌은 전세수요가 줄면서 공작LG 전셋값이 500만원 정도 하향 조정됐다.
경기·인천은 김포가 0.22%로 상승폭이 높았고 ▲시흥 0.13% ▲하남 0.13% ▲군포 0.12% ▲의왕 0.12% ▲파주 0.12% ▲부천 0.11% 순으로 주간 전세가격 상승폭이 컸다. 김포는 걸포동 오스타파라곤1·2·3단지 전셋값이 500만~1000만원 가량 일제히 상승했다. 시흥은 정왕동 대림3단지, 월곶동 월곶4차풍림아이원 등이 500만~1000만원 정도 상승했다. 하남은 신장동 성원상떼뷰, 망월동 LH신동아15단지 등이 500만~750만원 정도 올랐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해외축구도 소셜 라이브 방송으로 즐기자” (0) | 2015.11.21 |
---|---|
뉴 미니 클럽맨 '안락한 패밀리 세단으로 거듭나'…실내공간·승차감 향상 (0) | 2015.11.21 |
탐앤탐스 프랄린 음료와 어울리는 코디를 찾아라 (0) | 2015.11.21 |
블랙프라이데이가 온다…카드사별 해외직구 혜택경쟁 (0) | 2015.11.21 |
국세청, 신세계그룹 탈세 확인…800억 추징금 부과 (0) | 2015.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