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포럼

[뉴테크놀로지포럼]이규섭 KT 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 "韓 4차 산업혁명 준비 미흡…대비 서둘러야" ▲ 이규섭 KT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이 22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회 뉴테크놀로지포럼'에 참석해 강연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이규섭 KT 경제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AI 붐의 빅 웨이브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인프라, 시스템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변화시키고 지구상에 당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이 연구원은 22일 메트로신문과 이철우 의원이 공동 주최한 '제1회 뉴테크놀로지 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을 주제로 강연자로 나서 제4차 산업혁명의 가능성에 대해 이 같이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촉발 배경으로 저성장, 인구 구조변화, 환경문제 심화, ICT 혁명을 꼽았다. 생산가능인구가 올해 3700여명인 73%에서 2050년에.. 더보기
[뉴테크놀로지포럼] 백세범 카이스트 교수 "인공지능 변화와 대처법" ▲ 백세범 카이스트 교수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회 뉴테크놀로지포럼'에 참석해 기조강연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현재의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를 모방하며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메트로신문이 22일 주최한 '제1회 뉴테크놀로지포럼-4차 산업혁명의 꽃, 인공지능'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백세범 카이스트 교수는 올해 초 '알파고 쇼크' 이후 사회 곳곳에서는 깊어지고 있는 인공지능(AI)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다.백 교수는 이날 '알파고 쇼크'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인간이 인공지능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 ▲인공지능과 우리의 삶 등에 대해 강의했다. 백 교수는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 플레이어인 이세돌에게 도전장을 던졌을 때 모두 인간의 승리를 예상했지.. 더보기
[뉴테크놀로지포럼]현장스케치 이모저모 22일 서울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제1회 뉴테크놀로지포럼'은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큰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100여 명의 참석자들은 오전 9시부터 포럼이 끝나는 오후 3시까지 대다수가 자리를 지킨 채 강연자들의 강의에 귀를 귀울였다. 특히 포럼에 참석한 내빈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 상당했다. 이들은 AI라는 용어 자체가 화두라며 인공지능 발달로 인해 앞으로 일자리는 어떻게 변할지, 또 4차산업 혁명을 위해서는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는 말까지 다양한 화제로 대화를 이어갔다. 김세호 삼성SDS 팀장은 "요새 AI는 용어 자체가 화두"라며 "3~4년 전만 해도 빅데이터가 뭐냐는 질문도 많았는데 세상이 급새 변했다"고 말했다.정의동 전(前) 한국예탁결제원 사.. 더보기
[뉴테크놀로지포럼]현장스케치 이모저모 22일 서울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제1회 뉴테크놀로지포럼'은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큰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100여 명의 참석자들은 오전 9시부터 포럼이 끝나는 오후 3시까지 대다수가 자리를 지킨 채 강연자들의 강의에 귀를 귀울였다. 특히 포럼에 참석한 내빈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 상당했다. 이들은 AI라는 용어 자체가 화두라며 인공지능 발달로 인해 앞으로 일자리는 어떻게 변할지, 또 4차산업 혁명을 위해서는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는 말까지 다양한 화제로 대화를 이어갔다. 김세호 삼성SDS 팀장은 "요새 AI는 용어 자체가 화두"라며 "3~4년 전만 해도 빅데이터가 뭐냐는 질문도 많았는데 세상이 급새 변했다"고 말했다.정의동 전(前) 한국예탁결제원 사.. 더보기
2016 국제 운송 · 물류 혁신포럼 더보기
운송·물류산업의 새 비젼 제시, 메트로신문 주최 '2016 국제 운송/물류혁신포럼' 메트로신문이 주최하는 '2016 국제 운송·물류 혁신 포럼'이 8월 23일(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 지하1층 그랜드홀에서 개최됩니다. 세계 운송·물류 산업은 제4차 산업혁명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핵심 분야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미 산업간 벽은 사라졌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간과 로봇을 넘나드는 파괴적 혁신에서 운송과 물류산업이 열쇠를 쥐고 있는 것입니다.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드론, 로보틱스, 증강현실 등의 모든 기술들이 운송·물류산업과 만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게 될 것입니다. 한국의 물류산업은 영세성과 투자부족, 낮은 인지도 등으로 산업발전이 녹록치 않은 상황입니다. 영세물류사업자 위주의 사업구조로 거래가 복잡하고 갈등도 많습니다. 유통, 물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