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상행선 타는’ 공공요금···택시·택배·상수도·전기 인상 대기

반응형
공공요금이 또다시 들썩이고 있다.

전기·상수도·우편물(소포)·택시요금 등 생활에 밀접한 공공요금이 줄줄이 오를 예정이어서 서민 가계의 주름살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22일 물가당국과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택시요금 인상은 임박한 상태다. 서울시는 지난달 기본요금을 2400원에서 2900~3100원 정도로 올린다는 안을 마련해 시의회 심의를 받고 있다. 최종 인상안은 다음달중 결정된다.

겨울을 앞두고 연탄가격 인상도 논의중이다. 전문가들은 5% 정도의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편물과 택배요금 인상도 대기중이다. 우정사업본부는 2005년이후 동결했던 이들 요금을 8년 만에 인상하는 방안을 심사숙고중이다.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20kg이상 고중량 소포가 우선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상수도 요금 인상도 거론되고 있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물낭비를 막기 위해서는 물값을 올려야 한다는 보고서를 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시의 경우 상수도 요금(톤당)을 지난해 3월 561원으로 9.6% 인상했지만 생산원가 630원에는 미치지 못한다.

전기요금 인상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가정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수준이 낮은 산업용이 주타켓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준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공요금 현실화는 분명히 필요하지만 서민들의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국명기자 kmlee@metroseoul.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