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한길 의원이 4일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로 선출됐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정기 전당대회에서 최종 득표율 61.72%로 이용섭 후보(38.28%)를
큰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4명을 뽑는 최고위원 경선에서는 박빙의 승부 끝에 신경민(17.99%), 조경태(15.65%),
양승조(15.03%), 우원식(15.01%) 후보가 1∼4위에 오르며 지도부에 입성했다.
유성엽(13.20%),
안민석(13.00%), 윤호중(10.11%) 후보는 5∼7위에 그쳐 당 지도부 진출에 실패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출신이 당
대표에 선출된 가운데 최고위원은 수도권 2명, 영남 1명, 충남 1명으로 구성됐다. 민주당의 전통적인 '텃밭'인 호남 지역 인사의 지도부 진출은
무산됐다.
계파별로는 유일한 '친노(친노무현) 인사'였던 윤 최고위원 후보가 최하위에 그치면서 친노 진영이 고전을 면치 못했다.
비주류의 김 후보가 이번 경선에서 대승을 거둔 것은 대선 패배 후 당내에 확산된 '친노 책임론'과 '세대교체론'이 당원들로부터
상당 정도 호응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범주류에 속한 이 후보는 강기정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해 친노·주류의 결속표를
기반으로 막판뒤집기를 위해 부심했으나 '김한길 대세론'을 꺾는데는 역부족이었다.
신임 지도부는 대선 패배 후유증을 수습하고 고질적
계파정치를 해소해내면서 혁신 작업을 통해 당을 재건하는 막중한 임무를 떠안게 됐다. 이번 전대로 당 주도권이 친노·주류에서 비주류로 넘어가면서
당내 세력교체가 이뤄졌으며, 야권 정계개편의 핵으로 떠오른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관계 설정 및 야권 재편 작업도 새 국면을 맞게
됐다.
대선이후 여당이 주도해 온 여야 관계에도 변화가 올지 주목된다.
김 후보는 선거 기간 '강한 야당'을 내걸고
"박근혜 정권과 싸우겠다"며 대여 강경투쟁을 예고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