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개성공단 철수...피해등 향후 파장은?

반응형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차량을 통해 철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북한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체류한 우리 인력 50명 가운데 43명이 30일 0시 20분께 남측으로 돌아왔다.

29일 오후 9시20분께 북한은 개성공단 주재원 43명의 심야 통행을 허가했다. 우리 정부가 북측에 잔류인원 50명 전원을 귀환시키겠다고 통보한 오후 5시보다 4시간30분 가까이 지연된 시각이다. 다만 나머지 7명은 미수금 정산 문제와 우리 기업의 자재·물품 반출 이견으로 당분간 현지에 계속 남아있게 됐다.

통일부 관계자는 "개성공단에 잔류하게 된 7명은 30일에도 귀환하기 어려울 전망"이라며 "북한이 요구하는 미수금은 우리측 입주기업의 임금이 대부분으로 북측과 세부 내역, 지급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협의가 해결돼야 한다"고 전했다.

개성공단에 남게 된 7명은 홍양호 개성공단관리위원장과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직원 4명 및 통신 담당 KT직원 2명이다. 이들은 금전적인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귀환할 예정이지만 정부 당국은 귀환이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통상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에 대한 임금 지급은 남측에서 현금 수송 차량이 올라가면서 이뤄진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3일 개성공단으로의 출경 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남측 기업들이 임금을 지불하지 못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달 임금을 비롯해 소득세, 통신료 등을 요구했지만 무리한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우리 입장에서는 개성공단 파행의 책임은 북한에 있지만 줄건 주고 요구할 것은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9일 안으로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를 완료할 예정이었던 정부의 방침은 차질을 빚게 됐다. 아울러 개성공단은 설립 10년 만에 폐쇄 위기를 맞았다. 1971년부터 42년간 유지해 온 남북간의 대화 채널도 모두 끊기는 셈이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서로의 합의가 일순간에 물거품이 되는 상황에서 세계 어느 누가 북한에 투자를 하려 하겠는가"라며 "북한은 예측 불가능한 곳이며 이제라도 국제 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경제발전 등 어느 것도 이룰수 없을 것"이라고 강경하게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