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거제서 구조된 상괭이 '새복이', 고향 앞으로

반응형

꼬리지느러미 치료 완료...해수부, 2일 방류

지난해 경남 거제시 능포항 인근 해상에서 구조된 상괭이 '새복이'가 고향으로 돌아가게 됐다. 

해양수산부는 2일 꼬리지느러미를 다쳤던 새복이의 상태가 많이 나아짐에 따라 예전에 활동하던 거제 앞바다로 다시 방류했다. 

새복이가 구조된 건 작년 12월 27일이었다. 

국립수산과확원과 해양동물 전문 구조기관(Sea Life 아쿠아리움)은 상괭이 한 마리가 그물에 갇혀 있다는 어민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

꼬리지느러미에 상처를 입고 탈진한 상태로 발견된 상괭이는 간 수치가 높고 먹이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해 장기치료기관인 Sea Life 아쿠아리움으로 이송됐으며 한 달 간의 치료 끝에 자연 방류가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

이날 오전 마지막 건강검진을 마친 새복이는 방류를 위해 곧바로 거제 능포항으로 이송됐다. 방류지점은 어망이 없고 선박 이용이 드문 거제도 해역 외해이며, 개체 인식용 표지(태그)를 부착한 상태로 방류됐다. 

지난 20일 열린 '해양동물보호위원회'에서 위원들은 구조된 상괭이가 살아있는 먹이를 잡아먹는 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로 회복됐고 오랫동안 사육할 경우 야생성을 잃을 가능성이 커 신속히 방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부산 Sea Life 아쿠아리움은 새해에 방류되는 상괭이가 국민들에게 복을 가져다주기를 바란다는 염원을 담아 '새복이'라고 명명했다.

고래연구센터에 따르면 우리 연안에서 매년 1000마리 이상의 상괭이가 그물에 걸려 죽거나 다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인위적 위협으로 인해 우리나라 연근해의 상괭이 개체 수는 2005년 3만6000여 마리에서 2011년 1만3000여 마리로 64% 가량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해수부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 작년 9월 28일 상괭이를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했다. 

상괭이 외에도 해수부는 학술적·경제적 가치가 높고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77종의 동식물을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해 '보호대상해양생물 보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강용석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앞으로도 상괭이를 비롯해 위험에 처한 해양생물들을 지속적으로 구조·치료하고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한 친환경 어구 개발·보급 등에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그물에 걸린 새복이를 신고한 어업인 김경주(제1현성호 선장)씨에게는 국내 최초로 해양동물보호위원회 명의의 '착한선박' 인증서와 소정의 상품을 수여할 계획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