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검찰 칼끝, 이석채 KT회장 정조준

반응형

검찰의 칼끝이 이석채 KT회장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양호산 부장검사)는 22일 오전 KT본사 사옥과 관계사 사무실, 임직원 자택 등 16곳와 계열사를 압수수색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참여연대가 지난 2월에 이어 최근 이석채 회장을 배임혐의로 고발한 것에 따른 것. 참여연대는 지난 2월 KT가 스마트애드몰, OIC랭귀지비주얼, 사이버MBA 사업 등을 무리하게 추진해 수백억원의 손해를 봤다며 이 회장을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또 최근 KT 사옥 39곳을 매각하며 감정가의 75%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만 받고 팔아 회사와 투자자에 손해를 끼쳤다며 고발장을 제출했다.

그러나 검찰의 이번 압수수색은 결국 이석채 KT회장을 끌어내리기 위한 수순으로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그간 공기업에서 민간 기업으로 변신해 오너가 없는 기업인 KT와 포스코의 경우, 정권교체 시기마다 전리품처럼 새정부 인사로 채워지곤 했다.

박근혜 정부 취임 직후 이석채 KT회장과 정준양 포스코 회장의 거취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석채 회장의 경우, 박근혜 정부의 지속적인 교체신호에도 불구하고 이에 저항하는 듯한 행보를 보여왔다. 실제 박근혜 대통령이 주최한 재계 CEO회동이나 경제계를 대동한 해외순방시에도 KT와 포스코는 철저히 배제되곤 했다.

이석채 회장은 이에 대해 정권교체기마다 KT의 CEO가 교체되는 일은 더 이상 벌어져서는 안된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특히 홍사덕 전 한나라당 의원 등 현 정부와 가까운 인사들을 대거 영입해 소위 든든한 '방어막'을 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7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정책특보를 지냈던 임현규씨를 KT 부사장으로 영입해 화를 자초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부사장은 지난 2007년 대선때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선 경선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징역 5개월을 선고받은 경력이 있어, 청와대가 크게 화를 냈다는 후문이다.

검찰의 이번 압수수색도 이의 연장선상으로, 결국 이석채 회장을 교체하기 위한 사전작업이라는 평가다.

검찰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이석체 KT회장에 대해 사퇴하라는 신호를 수없이 보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이 회장이 버티기로 나온 상황이어서 최후의 방법을 쓴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