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자수첩]'팬택 살리기' 해법 없나
팬택 정상화를 위한 움직임이 여전히 구체적 성과 없이 제자리에 머무르고 있다.
'팬택 살리기'의 초점이 그동안 이동통신사 출자전환 참여 여부에 맞춰져 있었으나 이제는 상황이 변하고 있다. 출자전환 참여 여부를 놓고 그동안 묵묵부답이던 이통사가 최근 채무상환을 2년 연장하는 쪽으로 긍정적인 기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여전히 검토 단계에 있지만 상환유예를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분위기가 기울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아직 팬택의 채무상환 시한이 남아있는 만큼 내부에서도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긍정적인 분위기에 채권단이 다시 찬물을 끼얹고 있다. 채권단측은 채무상환 유예뿐 아니라 단말기 최소 물량 구입을 이통사측이 약속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이통사측은 지금도 약 70만대의 재고가 쌓여있는 입장에서 팬택 제품을 추가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과거와 달리 다소 침체된 통신시장도 관건이라는 주장이다.
기업 운영은 시장원리에 따라야 한다. 투자에 따른 이득이 있어야 기업도 투자를 할 수 있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채권단의 '이통사에 책임 떠넘기기'식 압박 행위는 지나친 것처럼 비춰진다.
채권단은 오히려 '팬택 살리기'를 위해 이통사를 앞세운 조건부 출자전환을 내세울 것이 아니라 먼저 팬택이 급한 불을 끌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을까. 채권단은 이준우 팬택 대표가 최근 기자회견에서 "현재 채권단 제시안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워크아웃이 중단되지 않도록 적극 나서달라"는 외침도 적극 살펴야 할 것이다.
이재영 기자(ljy0403@)
세계 최대 종합일간지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반응형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포]현대기아차, 경쟁력 비결은 ‘모비스’와 ‘파텍스’ (0) | 2014.07.21 |
---|---|
[금융가사람들] 건강한 노후엔 치매 예방이 필수 (0) | 2014.07.21 |
현대차 투싼ix 후속, ‘리틀 싼타페’ 이미지로 나온다 (0) | 2014.07.21 |
[임의택의 車車車]‘내가 제일 잘 나가’ BMW 4시리즈 쿠페&컨버터블 (0) | 2014.07.21 |
[IT카페]박상권 페이뱅크 대표 "금융의 카톡이 되겠다" (0) | 201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