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내수 죽은 한국, 내년 성장 암울

반응형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내년 한국경제의 성장 수준에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기관들은 연달아 내년 한국경제의 성장률에 대해 기대보다 낮은 전망치를 내놓았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 각종 악재로 인해 세계 경기가 예상보다 나빠질 경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이보다도 훨씬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최근 2014년도 한국의 경제 전망을 발표한 국내외 36개 기관의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3.5%로 집계됐다.

이들 기관의 80.6%(29곳)가 정부의 예측치인 3.9%보다 낮은 전망치를 내놨다. 3.9%와 같거나 더 높은 수치를 제시한 기관은 7곳에 불과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은 전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자료에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9%에서 3.7%로 낮춰 잡았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8%에서 3.6%로 하향조정하면서 한국 등의 성장률도 함께 내렸다. IMF는 중국의 내년 성장률은 0.4%포인트 낮췄다.

한국은행은 IMF 등의 전망을 고려해 오는 10일 기존 4.0%였던 전망치를 0.1~0.2%포인트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전문가들 역시 한국의 대내외 변수를 고려할 때 내년에 기대만큼의 성장을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정부 전망대로 되려면 상당히 선전해야 한다"며 "(정부가 이를 성취하기는) 버거울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우려 요인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주요국의 금리 인상, 유로존 경기 불안 등을 꼽았다. 대내 여건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일단 투자가 제대로 살아나지 않고 있고 국내 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부동산 경기도 쉽사리 살아나지 않고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회복세가 강할 것 같지 않다"며 "수출은 괜찮지만 내수 쪽 제약요인이 많다"고 진단했다. 




조 연구위원은 "올해 상반기에 도움이 됐던 재정의 역할이 내년에는 세수부족, 재정적자 확대 등으로 올해처럼 뒷받치는 역할을 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정 기자  hjkim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