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넥슨 홀로 참여 '지스타2013' 해운대구 지역 행사 전락하나

반응형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가 2005년 출범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다음달 14~17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지스타 2013'이 기업과 바이어를 위한 '그들만의' 사업장으로 변모될 가능성이 커진 탓이다.

지난해까지 지스타는 매년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 서울(부산)모터쇼와 함께 국내 양대 전시회로 자리매김 해왔으나 올해의 경우 관람객을 맞는 B2C관에 간판을 올리는 메이저 업체가 2개사에 불과하다.

이번에 B2C관에 제품을 출시하는 유명 기업은 넥슨,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 정도이며, 포털 다음이 창사 이래 처음 온라인게임 '검은 사막'을 알리기 위해 참가한다.

한국이 자랑할 수 있는 국제게임전시회를 표방해온 지스타의 메인 전시장에 얼굴을 내미는 토종 메이저 게임사는 사실상 넥슨 한 곳뿐인 셈이다.

이같은 상황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B2C관은 지난해 1385부스보다 150부스 줄어든 1235부스로 운영되며, 네오사이언, 모나와, 누리스타덕스, 루시미디어, 제닉스, 워게이밍넷, 엔비디아, 오큘러스브이알, 샌디스크 등 일반 관람객에게 다소 낯선 기업들이 진을 칠 예정이다.

기업 간 거래를 다루는 B2B관에 넥슨, 네오위즈게임즈, NHN엔터테인먼트, 카카오, 액토즈소프트, 스마일게이트, 네이버, CJ E&M, 게임빌, 컴투스, 엠게임 등 메이저 업체가 참여하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지스타2013의 이 같은 위기는 크게 두 가지 배경에서 비롯됐다. 먼저 게임산업의 틀이 온라인에서 모바일으로 급속하게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전시회는 앞으로 나올 신작을 미리 체험하는 성격이 강하다. 제작에 최소 2년이 걸리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이런 특성에 잘 부합한다.

하지만 모바일게임은 제품 사이클 자체가 다르다. 기획에서 완성까지 이르면 한 달이면 충분한 경우도 있어 전시회에 내놨다가는 본전도 뽑지 못하기 일쑤다.

게다가 모바일게임은 카카오톡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에서 게임의 홍보와 공급이 이뤄지고 있어 오프라인 전시장이 사실상 의미가 없다.

더불어 지스타에 일정 규모 이상의 부스를 확보한 뒤 마케팅을 하려면 최소 20억원이 드는 고비용 구조를 영업이익률이 낮은 모바일게임사가 감당하기는 쉽지 않다.

또 다른 배경으로 정부의 '반 게임' 정서가 꼽힌다.

황우여 원내대표를 필두로 한 새누리당 의원들은 게임을 마약,도박,술과 함께 '4대 중독'으로 지정한 뒤 국가가 다스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여성가족부 등 일부 부처도 게임을 가정 불화의 원인으로 보고 길들이기에 나섰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메이저 게임사들은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나 게임산업협회(현 K-IDEA)와의 관계를 고려해 '타의반 자의반'으로 참가하는 경향이 짙었지만 이제는 '눈치 볼' 필요조차 없어진 최악의 상황에 몰리면서 지스타 참가를 더욱 꺼리게 됐다.

국내 메이저 게임 업체 관계자는 "국내에서 중독 산업으로 몰리는 마당에 해외시장 개척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겠다는 생각 뿐"이라며 "자칫 올해 지스타는 부산, 특히 해운대구의 지역 행사로 전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