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만취상태 불질러 사망…"우발적 사고, 보험금 지급하라"

반응형

술에 취한 상태에서 스스로 불을 질러 사망했다고 해도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었던 만큼 고의로 목숨을 끊었다기보다는 우발적 사고로 봐야 한다고 법원은 판단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25단독 이순형 판사는 방화로 숨진 문모씨의 보험수익자인 박모씨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보험금 8000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문씨는 2011년 10월 박씨와 함께 운영하던 식당의 바닥에 기름을 뿌리고 불을 질렀다. 박씨와 말다툼을 하다가 홧김에 벌인 일이었다.

이 사고로 식당 건물 전체가 불탔다. 박씨는 얼굴 전체에 화상을 입는 등 전치 12주의 중상을 당했다. 문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닷새 만에 숨졌다.

박씨는 문씨가 생전에 보험을 들어놓은 우체국에 보험금을 신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우체국 보험의 약관에는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에는 보험금을 내주지 않도록 돼 있다. 상법 역시 계약자나 수익자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사고가 생겼을 때는 보험사에 보험금 지급 책임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판사는 술을 마신 탓에 충동적으로 방화했다가 사망한 '우발적 외래사고'라며 보험금 지급 판결을 내렸다. 박씨는 불을 지를 당시 소주 2병을 마신 상태였다.

이 판사는 문씨에게 자살할 이유가 없었지만 주벽은 심한 점, 보험사기의 정황도 보이지 않는 점 등을 근거로 삼았다.


김민준 기자  mjkim@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