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박성훈의 IT도 인문학이다]삼성은 왜 우주선 안쏠까

반응형

[박성훈의 IT도 인문학이다] 삼성은 왜 우주선 안쏠까

1957년 10월4일. 옛 소련은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를 발사해 지구촌을 깜짝 놀라게 했다. 

냉전시대이던 당시 소련과 양강을 이루던 미국이 받은 충격이 얼마나 컸던지 '스푸트니크 쇼크'라는 말이 생겼다. 

1961년 4월 12일. 소련은 또 한번 세계인을 경악케 한다. 우주선에 사람을 실어 발사한 것이다. 

우주선 보스토크에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인 유리 가가린이 탑승한 것이다. 가가린은 우주선을 타고 100분간 지구 주위를 돌면서 "지구는 푸른빛"이라며 감탄했다. 

1969년 7월 16일. 우주 개발 경쟁에서 물만 먹던 미국이 마침내 닐 암스트롱 등 3명의 우주인을 태운 아폴로 11호를 발사한다.

아폴로 11호는 4일 뒤 달 착륙에 성공하며 소련의 콧대를 꺾어버렸다.

달 표면에 최초로 사람의 발자국을 남긴 암스트롱은 "이것은 한 사람에게는 작은 한 걸음에 지나지 않지만 인류에게 있어서는 위대한 도약"이라는 명언을 남겼다. 

2008년 10월28일. 미국의 민간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 X는 3년간 세차례 실패를 딛고 마침내 첫번째 상업용 로켓 '팰컨 1호' 발사에 성공한다.

스페이스X의 로켓 발사 성공은 우주 개척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 전까지 우주선이나 위성 발사는 100% 국가가 주도하는 일종의 국영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스페이스X는 e메일 결제 시스템 '페이팔', 프리미엄 전기차 '테슬라'를창업한 엘런 머크스가 세운 민간 기업이다. 즉 국가가 아닌 개인이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우주발사체를 쏘아올린 것이다.

머스크의 목적은 다름아닌 '인류의 화성 이주'다. 허황된 소리로 들리지만 머스크는 진지하다. 

"앞으로 20년 뒤 지구촌 인구는 80억명으로 늘어난다. 석유, 가스, 물 등 주요 자원도 바닥을 드러낼 것이다. 인류는 새로운 거주지를 찾아야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곳 가운데 가장 적합한 장소가 화성이다."

머스크는 지난 6월 일종의 우주 버스인 '드래곤2'를 공개했다. 10명 내외의 사람이 타면 바로 우주로 날아갈 수 있느 유인 우주선이다.

머스크는 우주선 발사에 드는 비용을 기존의 10%로 낮추는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 우주선 발사에 가장 많은 돈이 드는 게 1단 발사체인데 이를 재활용하는 전략이다. 

즉 1단 발사체가 다시 발사대로 돌아오는 것인데 이미 일부 과정에서 성공을 맛보고 있다. 그의 목표대로 일이 진행된다면 2018년 다수의 사람이 화성으로 여행을 떠나는 '사건'이 현실이 된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러시아의 기술을 빌려 나로호를 쏜 것에 만족하고 있을 뿐이지 않은가. 삼성, 현대차, LGSK와 같은 국내 대기업도 우주 개발 전쟁에 동참해야 한다. 

스마트폰자동차에어콘, 석유 정제만 하던 기업이 어떻게 우주선을 만드냐고? 물리학을 전공한 머스크는 우주항공학 등 우주선 제작과 발사에 필요한 지식을 독학으로 습득했다. 

  •  박성훈 기자(ze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