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북한이 14일 122㎜로 추정되는 방사포 100여 발을 강원도 고성 군사분계선(MDL) 부근에서 북측 동해 상으로 발사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오늘 오전 11시53분부터 방사포 100여 발을 강원도 고성 비무장지대(DMZ) 북방한계선 북쪽 수 백m 지점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했다"며 "방사포 포탄은 동해 북방한계선(NLL) 북쪽 1~8㎞ 해상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방사포 사격훈련은 지금도 진행 중"이라며 "북한군이 발사한 포탄이 동해 NLL 이남으로 떨어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북한군이 동해안 MDL 바로 북쪽에서 방사포 사격훈련을 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122㎜ 방사포의 사거리는 10~20㎞다.
이날 북한의 방사포 사격훈련은 최근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함께 대남 무력시위 일환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9일 MDL에서 40여㎞ 떨어진 황해도 평산에서 스커드 추정 탄도미사일 2발을 동해 상으로 발사한 데 이어 13일에도 MDL에서 불과 20㎞ 떨어진 개성 북쪽에서 같은 종류의 탄도미사일 2발을 역시 동해 상으로 쏘아 올렸다.
군 당국은 북한이 스커드 계열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날 미사일을 발사한 지점은 9일 군사분계선에서 40여㎞ 떨어진 황해도 평산에서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 지점보다 더욱 남쪽으로 내려온 곳이다.
군 관계자는 MDL 부근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는 기습발사 능력을 과시한 것"이라며 "미국 항공모함의 부산항 입항에 대한 반발과 자신들의 소위 특별제안을 남측이 수용하라는 압박의 성격도 있다"고 분석했다.
- 김민준 기자(mjkim@)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위, 건설사 하도급대금 부당 지급실태 집중 조사 (0) | 2014.07.14 |
---|---|
구형 10원 동전 40만개 녹이려다 적발…금속값만 3~4배 (0) | 2014.07.14 |
가장 오래된 등록상표는 '샘표'…60년 넘어 (0) | 2014.07.14 |
세빛둥둥섬, 새이름 'some sevit(세빛섬)'으로 재탄생 (0) | 2014.07.14 |
"오거돈, 세월호 애도기간 골프" 주장 경찰 수사 (0) | 201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