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연합뉴스
안철수 의원이 결국 짐을 쌌다. "새정치연합을 혁신해서 국민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정당으로 만들라는 염원에 부응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탈당한 것이다. 안 전 대표는 "밖에서라도 강한 충격으로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독자적인 정치세력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안철수 의원의 이날 탈당은 특별히 놀랍거나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야권의 이합집산은 이미 오래된 일이고 요즘도 몇몇 인사들이 정당을 따로 만들겠다며 난립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자신들이 현재의 제1야당인 새정치연합과 크게 다르기나 한 것처럼 말하고 행동한다. 이런 언행이 여당인 새누리당과 결정적으로 다르다.
현재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에도 친박과 친이 등의 계파가 있다. 이들 계파는 공천규칙을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를 둘러싸고 언쟁과 충돌을 벌인다. 그렇지만 언쟁과 충돌이 있을지언정 뛰쳐나가거나 당을 따로 차리는 등의 극단적인 선택은 하지 않는다. 유승민 의원의 경우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비판을 듣고 원내대표직을 내놓았다. 그렇지만 탈당하지는 않았다. 그는 여전히 새누리당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이에 비해 안철수 전 대표를 비롯한 야권 인사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서슴지 않는다. 자그마한 차이도 감내하지 못하고 딴살림을 차리거나 홀로 오막살이집 같은 정당을 만들겠다고 한다. 과연 그렇게 극단적인 선택을 할 만큼 큰 차이가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더욱이 안철수 전 대표는 김한길 대표 시절 민주당과 합당하고 당명까지 바꾸게 한 인물이다. 그런데 2년도 채 안돼 다시 뛰쳐나가니 이야말로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다.
야권인사들의 극단적인 선택은 국민들에게 정서불안으로 보일 뿐이다. 태산 같은 장중함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니 국민들에게 안정감과 믿음을 주지 못한다. 이같은 정서불안과 극단적인 선택을 감행하는 것 자체가 이미 감표요인이다. '갈라서고 합치고'를 밥먹듯이 하는 정당과 세력에게 어떻게 나라의 앞날을 맡길 수 있을까? 내년에는 총선이 있고 후년에는 대통령선거도 치러진다. 야권이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이같은 정서불안부터 극복하고 국민에게 안정감을 주어야 할 것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원샷법'에 묶인 사이 중국 국유기업 합병 드라이브…세계 4위 해운업체 차이나코스코시핑그룹 탄생 (0) | 2015.12.14 |
---|---|
메트로신문 12월14일자 한줄뉴스 (0) | 2015.12.14 |
'사시유예' 법무부에 반발…로스쿨생 집단 시험 거부 (0) | 2015.12.14 |
"30년 같은 3년"…안철수 공식 탈당 (0) | 2015.12.14 |
안철수 제1야당 탈당…"당 안에서 변화 혁신 불가능" (0) | 2015.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