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서울서 1억원대 전세 아파트 구하기 5년 전보다 2배 어려워져

반응형
전셋값 고공행진이 이어지면서 서울에서 2억원을 밑도는 전세 주택 비중이 5년 새 반토막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써브가 10월 둘째주 시세를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118만3738가구를 조사한 결과 전세가 2억원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은 30.53%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8년 같은 시기의 62.15%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줄어든 수준이다.

2008년 당시에는 전세가가 1억원대의 가구 수가 56만645가구로 전체 111만4711가구 가운데 50.78%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3년 현재 기준으로 전세가 1억원대의 가구수는 32만1316가구로 27.14%에 불과하다.

구별로 보면 송파구(2만8221가구→5246가구)와 성북구(3만5245가구→1만2348가구)의 감소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전세가 1억원에 못 미치는 아파트의 비중 역시 2008년 전체의 11.37%(12만6727가구)에서 2013년 3.39%(4만81가구)로 크게 줄었다.

반면 높은 전세가 비중은 늘었다.

전세가 2억원 이상의 아파트는 2008년 전체 가구의 25.42%(28만3397가구)에서 37.04%(43만8488가구)로 증가했다.

전세가 3억원 이상도 12.43%(13만8542가구)에서 32.43%(38만3853가구)로 2배 넘게 늘었다.

전세가 3억원 이상은 특히 강남3구에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2만1221가구→6만2750가구)가 4만가구 넘게 늘고, 강남구(4만129가구→7만856가구)와 서초구(2만6910가구→5만3884가구)도 2만~3만가구씩 불어났다.

김미선 선임연구원은 "주택 매매가는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전세가 강세는 계속되고 있어 3억원 이상 전세 비중은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