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서울 전월세전환율 5.3%…전 분기대비 하락

반응형
▲ 올해 3분기 자치구별 전월세 전환율.

올해 3분기 서울의 전월세전환율이 5.3%를 기록해 전 분기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돌릴 때 월세를 얼만큼 올릴지 계산하는 비율이다. 전월세전환율이 떨어질수록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도 낮아진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3분기 서울의 반전세(보증금의 일부를 월세로 받는 주거 형태) 주택 전월세전환율이 5.3%로 지난 2분기보다 0.8%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전월세전환율은 2014년 1분기 7.7%를 기록한 이후 점차 하락하는 추세다. 

자치구별로는 ▲강북구(6.2%) ▲금천구(6.2%) ▲용산구(6.0%) ▲마포구(5.8%) ▲관악구(5.7%) ▲은평구(5.7%) ▲동대문구(5.7%) ▲종로구(5.6%)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초구가 4.6%로 가장 낮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다가구 주택이 6.1%로 가장 높았다. 다세대·연립은 5.2%, 아파트는 4.8%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전세보증금이 1억 이하인 주택의 전·월세 전환율은 6.7%인 반면 보증금 1억원 초과인 주택인 전·월세 전환율은 4.4~4.8%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민들이 사는 주거시설일 수록 월세 부담이 크다는 얘기다. 특히 전세보증금이 1억 이하인 단독·다가구의 경우에는 전·월세 전환율이 7.1%에 달했다.

오피스텔과 원룸 등 주택유형이 아닌 주거용 시설의 3분기 전·월세 전환율도 6.1%로 지난 분기보다 0.7%포인트 내려갔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시중금리가 지속해서 떨어지면서 서울의 주거용건물 전·월세 전환율 역시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4분기부터는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이 시작되는 만큼 이러한 추이가 지속할지 모니터링을 꾸준히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