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실리콘밸리 '섹스밸리' 오명...구글 야후 임원 스캔들

반응형

실리콘밸리가 '섹스밸리' 오명 왜? 

야후 여 임원 부하에 구강성교 요구 

구글 임원은 성매매 여성에게 살해 

IT산업의 메카로 통하는 미국 실리콘밸리가 '섹스밸리'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실리콘밸리는 물론 글로벌 IT기업을 대표하는 구글과 야후의 임원들이 잇따라 섹스 스캔들에 휘말리고 있다. 

CNN, USA투데이 등 미국 언론은 14일(한국시간) 야후의 전 직원인 중국계 여성 시(Shi)가 직속 여성 상관이었던 마리아 장 모바일 부문 임원을 상대로 성폭력과 관련한 손해배상과 형사 처벌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고 보도했다.

시는 고소장에서 장 임원의 협박을 견디지 못하고 수시로 구강 성교에 응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일자리와 주식을 빼앗아버리겠다고 협박하며 지속적으로 성행위를 요구했고 성관계 직후에는 근무외 시간임에도 강도 높은 업무를 명령했다"고 하소연했다. 

시는 참다못해 성관계를 거부했고 장 임원에게 낮은 인사고과를 받아 해고당했다고 말했다. 

특히 시가 성희롱 피해를 입은 뒤 야후 인사과에 신고했으나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혀 이번 논란이 회사 전체로 확산할 조짐이다.

야후 측은 "장은 모범적인 야후의 임원"이라며 시의 주장을 일축했다.

지난 4일 성매매 여성 알릭스 티첼먼은 구글의 임원 포레스트 하이에스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됐다. 

티첼먼은 고급 요트에서 하이에스를 만나 치사량의 마약을 주사한 뒤 달아났다가 9개월 만에 검거됐다. 

경찰은 티첼먼이 매춘을 목적으로 하이에스를 만났다가 계획적으로 살해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구글과 야후의 임원들이 충격적인 스캔들에 연루되면서 실리콘밸리가 섹스밸리로 돌변한 배경에 대해 호사가들이 입방아를 찧고 있다.

무엇보다 벤처기업 수준이었던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이 어느 순간 수천억원의 가치를 지닌 대기업으로 성장했다는 점을 꼽는다.

CNN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활동 중인 콜걸 중 일부는 100만 달러(약 10억원)를 벌기도 했고 남성 고객들은 지갑이 넘칠 정도의 현금을 지니고 다닌다.

갑자기 늘어난 돈이 실리콘밸리의 잇따른 섹스 스캔들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셈이다. 

  •  박성훈 기자(ze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