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외제차 수리비 낮아지고 보험료 오르고···개정안 추진

반응형
스치기만 해도 수백만원이 훌쩍 넘던 외제차 수리비가 낮아진다. 반면 외제차 보험료는 단계적으로 오른다.

국토교통부·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은 외제차 부품 정보 제공을 의무화해 '수리비 뻥튀기'를 못하도록 하는 것을 뼈대로 한 자동차관리법 및 여객자동차운수법 일부 개정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15일 밝혔다.

우선 수리 항목별 시간당 공임, 작업시간, 부품의 수량·단가·제조회사·일련번호 등 모든 세부 내역을 고객에게 알리도록 의무화했다. 외제차 정비업체가 수리비를 과잉 청구하더라도 견적서에 작업 내용, 부품, 공임만 표시돼 있어 합리적인 가격인지 객관적으로 알 수 없었다는 지적 때문이다.

이와함께 외제차는 수입 순정부품만 정비에 쓰게 돼 있지만, 품질인증을 받으면 대체 부품도 쓸 수 있도록 해 부품 값 인하도 유도할 방침이다. 경정비를 전담하는 자동차부분정비업(퀵샵)의 허위 견적서를 막고자 업무 범위도 한정하기로 했다.

국산차의 3.6배에 달하는 외제차 렌트비도 규제한다. 정비업체가 렌트업체에 리베이트를 줄 수 없도록 하고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의 이하의 벌금을 매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같은 조치는 2012회계연도 사고 때 지급된 평균 보험금이 외제차가 296만5000원으로 국산차(100만4000원)의 3배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2010~2012회계연도 지급보험금 증가율도 국산차는 1.9%에 불과했으나 외제차는 25.5%나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2회계연도 외제차 손해율이 81%로 국산차(65.2%)보다 훨씬 높다"며 "이에 맞춰 외제차 보험료를 단계적으로 현실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국명기자 kmlee@metroseoul.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