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윳값 인상 시기가 바싹 다가온 가운데 정부부처가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6일 일부 언론은 기획재정부가 흰우유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밝힌 주요 우유업체 등에 대해 가격 인상 과정을 조사 중이며,
최악의 경우 가격 인하 유도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가 나가자마자 "해당 기사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는
공식 해명 자료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정부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우윳값 인상을 두고 담합 조사를 실시하거나 당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가격 인상 자제를 직접 발언하는 등 강경하게 대처했던 것과 비교된다.
이번 우윳값 인상의 뜨거운 감자는 인상폭이다. 최근 첫 시행된
원유가격 연동제에 따라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원유 기본 가격은 1ℓ당 940원으로 기존 834원보다 106원 뛰었지만, 서울우유와
매일유업은 이보다 높은 1ℓ당 250원 인상안을 발표했다. 매일유업은 8일부터, 서울우유는 9일부터 가격을 올릴 예정으로 남양유업과 동원
F&B 역시 우윳값 인상을 원칙으로 그 시기와 인상 폭을 논의 중이다.
소비자단체들은 업계가 원유값 인상을 명분으로 부당
이득 챙기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고삐 역할을 할 정부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이상 우윳값 인상을
중단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우윳값 인상과 관련해 이마트·홈플러스 등 유통업계 관계자를 서울청사로 불러 가격 점검을
한 바 있지만, 우유업체와는 별도의 자리를 갖거나 협조 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유업계는 기획재정부의 해명자료를 문장
그대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에 인상안을 발표한 우유업체 한 관계자는 "만 2년간 포장재 값이나 운송에 따른 유류비 등 유제품 제조비가
꾸준히 늘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못해왔다"고 말했다. /권보람기자
kwon@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