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은 3일 일본 중앙은행(BOJ)의 깜짝 추가 양적완화 정책 발표로 2차 엔저현상이 재개될 가능성이 불거졌다고 판단했다.
이승준 연구원은 "BOJ가 예상 밖으로 추가 양적완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본원통화 규모를 기존 60조~70조엔에서 80조엔으로 확대하기로 했다"며 "자산매입 계획도 확대해 국채 매입 규모를 연간 50조엔 수준에서 80조엔 수준으로 늘리고 평균 잔존기간도 기존 7년 정도에서 7~10년으로 최대 3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상장지수펀드(ETF)와 J-REITs 보유액도 3배 정도로 늘리면서 연간 매입 규모를 각각 3조엔, 900억엔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이에 더해 일본 연기금도 증시 부양에 한층 공격적인 기조로 돌아서면서 연기금은 채권투자 비중을 기존 60%에서 35%로 낮추고 주식투자비중은 12%에서 25%로 확대하기로 했다"며 "해외주식과 채권투자 비중도 각각 25%, 15%로 기존 대비 2배 늘리기로 했으므로 1조2000억달러 수준인 일본 연기금 규모를 감안할 때 일본 증시 부양을 통한 아베노믹스에 일조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BOJ가 추가 양적완화를 조기 시행한 이유에 대해 "최근 소비를 포함, 경기와 물가 수준이 예상을 밑돌면서 공언했던 목표 달성이 힘들어졌기 때문"이라며 "내년 10월 소비세 인상을 위해선 선제적 조치를 해야할 필요성도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결국 이번 조치로 아베노믹스 성공을 위한 일본의 정책 의지를 확인했다"며 "내년 자산 매입을 재차 연장할 가능성도 한층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 입장에서는 엔저 재심화 가능성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며 "엔화의 추가적인 약세 압력이 계속되면서 엔저 부담감이 다시 주요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김현정 기자(hjkim1@)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카페] 응치순 젠하이저 아시아 대표 "'어반나이트'는 '비츠바이닥터드레' 킬러" (0) | 2014.11.03 |
---|---|
"'퍼슈머'를 아세요"…원산지 확인 소비자 증가 (0) | 2014.11.03 |
단통법 시행 후 불법보조금 정황 포착…방통위, 이통3사에 강력 경고 (0) | 2014.11.03 |
IPTV 계륵 아닌 효자로 진화 (0) | 2014.11.03 |
삼성 이재용 체제 본격화? '지배 정점' 제일모직 내달 18일 상장 (0) |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