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IPTV 계륵 아닌 효자로 진화

반응형
▲ 사진제공=올레tv

통신사업자 내부에서 계륵 같은 존재였던 IPTV가 서서히 날개를 펴고 있다. 가입자 수가 크게 늘면서 사업적으로도 수익을 내는데 앞장서고 있다.

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IPTV는 전국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하며 케이블TV사업자를 위협하고 있다. 가입자 저조로 실적이 부진하던 IPTV는 최근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수익성 측면에서도 빛을 발하고 있다.

SK브로드밴드는 3분기 IPTV 사업 매출이 12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8% 증가했다. IPTV 부문은 가입자 기반 확대와 유료 콘텐츠 이용률 증가에 따른 플랫폼 매출 향상으로 최근 3년간 매출 평균 성장률이 43%에 달한다.

특히 3분기에만 IPTV 가입자가 18만9000명 순증해 누적 가입자가 260만명을 기록했다. 모바일 IPTV 서비스인 'Btv 모바일'도 누적 유료 가입자 232만명을 확보했다. 

KT 역시 3분기 IPTV 성장에 힘입어 미디어·콘텐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8% 성장한 3961억원을 달성했다. KT의 IPTV 서비스인 올레tv 가입자는 3분기에만 27만명 순증을 기록하며 총 563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했다.

올레tv는 지난 8월 주문형비디오(VOD) 월 플레이 수가 3억회를 넘어서는 등 이용횟수도 급증하고 있다. 전체 VOD 이용 비중에서 '유료 VOD'가 19%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하는 모습이다. 올레tv의 영구소장 프리미엄 VOD 서비스 '클라우드DVD' 매출에서도 올해 1~7월에만 74억3000만원의 콘텐츠 매출을 거두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LG유플러스의 3분기 실적 호조에도 IPTV가 크게 기여했다. 3분기 IPTV 수익은 VOD, 홈쇼핑 등 부가서비스 수익 증대와 'U+tv G 14 요금제' 등 신규 유치율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5.5% 증가한 1000억원을 기록했다. 가입자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한 187만5000명을 달성했다.

IPTV 사업의 성장에는 결합상품을 주력으로 한 마케팅 전략도 한 몫 했다. 최근 통신업계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으로 인해 보조금 규제 등 제약을 받자 결합상품을 주력으로 판매에 나서고 있다. 9월 현재 초고속인터넷가입자 중 IPTV에 동시 가입한 비율은 SK브로드밴드 55.1%, KT 69.5%, LG유플러스 62.3%에 달한다. 최근 이동통신과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며 그 비중도 보다 커지고 있다. 

서비스 면에서도 진화하고 있다. 최근 통신업계는 IPTV 전용 초고화질(UHD) 셋톱박스를 개발,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이번 IPTV 전용 UHD 셋톱박스 출시로, 고객들은 보다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됐다.

N스크린 서비스 역시 IPTV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모바일 IPTV 서비스 가입자도 급증하며 현재 5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모바일 IPTV는 언제 어디서나 손안에서 고화질의 실시간 방송 및 VOD를 시청할 수 있어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IPTV 서비스의 가입자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통신업계의 효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향후 VOD 수요 증대, 모바일 IPTV 이용 급증, UHD 셋톱박스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내년에도 IPTV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