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최강 스펙으로 '한국사 지식'을
꼽아 눈길을 끈다.
현대차그룹이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가운데 하나인 만큼 기업은 물론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야한다고 당부한
것이다.
31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은 최근 열린 경영회의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정 회장은 "역사관이 뚜렷한 직원이 자신을,
회사를, 국가를 사랑할 수 있다. 뚜렷한 역사관을 갖고 차를 판다면 이는 곧 대한민국의 문화도 같이 파는 것이고,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고객에게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문화를 알릴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역사 교육을 철저히
시행하라"고 주문했다.
정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우리는 위기와 시련을 도전 정신과 열정으로 극복한 저력이 있다"면서 역사를
아는 것이 미래에 대비하는 힘임을 역설했다.
이미 현대·기아차는 직원의 역사 소양 함양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9월부터 해외 업무 담당직원을 비롯한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교수 등을 초빙해 '역사 콘서트'란 이름으로 강의를 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 시험 격인 '인·적성검사'(HMAT)에 자동차회사로선 이례적으로 역사에 대한 소양과 사관을
평가하는 문제를 냈다.
당시 검사에선 '고려, 조선시대 인물 중 가장 존경하는 사람과 그의 업적을 설명하고 이유를 쓰시오'와
'세계의 역사적 사건 중 가장 아쉬웠던 결정과 자신이라면 어떻게 바꿀지 기술하라'는 2개 문항 중 하나를 택해 짧은 에세이를 쓰라는 문제가
나왔다.
아울러 현대·기아차는 올해 해외 딜러 및 A/S 직원, 해외 우수고객, 해외 기자단과 오피니언 리더 등 1만여명에게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역사 현장을 탐방할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 홍보도서 '인사이드
코리아'를 한림출판사와 공동 기획·발간하기도 했다./박성훈기자
zen@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