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지하철·버스 안에서 스마트폰 통화하면 '치명적'

반응형

지하철과 버스 등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인 교통수단에 탄 채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평소보다 최고 5배 높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시판 중인 휴대전화 7종을 대상으로 사용 환경에 따른 전자파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실험 결과 지하철·버스 등에 탑승한 채 통화할 경우 전자파는 0.10∼1.06볼트퍼미터(V/m)까지 치솟았다. 정지 상태(0.05∼0.16V/m)보다 평균 5배가량 강했다.

또 엘리베이터와 같이 밀폐된 장소에서 통화할 경우에 나오는 전자파는 0.15∼5.01V/m로 개방된 공간(0.08∼0.86V/m)보다 평균 7배가량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과학원은 빠르게 이동하며 통화할 경우 휴대전화가 가까운 기지국을 수시로 검색하기 위해 기기 출력이 증가하면서 전자파 강도가 세진다고 설명했다. 밀폐된 장소에서는 전파 수신이 어려워 기기 출력이 증가하면서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실험에서는 '통화 연결 중'에 0.11∼0.27V/m의 전자파가 발생해 '대기 중(0.03∼0.14V/m)'이나 '통화 중(0.08∼0.24V/m)'보다 강한 전자파가 나오는 것도 확인됐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1년 5월 휴대전화 등 무선 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암 유발 가능 물질(2B 등급)로 분류한 바 있다. 당시 IARC는 매일 30분씩 10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사람은 뇌종양이나 청신경증 발생 가능성이 일반인보다 40%가량 높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