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파리 테러가 여의도 증시 삼켰다.. 외환시장도 충격

반응형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터키로 집결한 지 이틀째인 16일. 지난 13일 발생한 파리 폭탄 테러의 파편이 한국 증시를 강타했다. 

이날 국내 증권사 영업장에서는 전화통에 불이 났다. 유럽지역에 한정될 것 같던 테러 충격이 아시아 금융시장으로 퍼지면서 우리나라 증시 또한 맥없이 무너졌고, 투자자들 문의가 빗발친 것이다. 

A증권사 객장 한 관계자는 16일 "장중 외국인의 매매동향과 개별 주가 상황을 초 단위로 모니터링하는 상황이어서 화장실도 제대로 못 갔다"고 했다. 그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겠다고 하는 판에 세계 경제 둔화 우려로 이어질까 걱정이다"고 말했다. 

서울 외환시장도 아수라장이 됐다. 이날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도 10.3원 폭등(원화값 급락)했다. 

◆파리발 후폭풍에 금융시장 휘청 

한동안 평온했던 증시에 한겨울 칼바람이 불어 닥쳤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30.27포인트(1.53%) 폭락한 1943.02에 마감했다. 

미국의 연내 금리 이상 우려에 더해 지난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터진 연쇄 테러가 충격으로 이어진 것. 

시장에서는 2001년 '뉴욕 9·11 사태'에 비유하는 시각이 적잖다. 당시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1주일 동안 14%나 폭락했다. 이후 영업일 기준으로 60일 동안 하락이 이어졌다. 그러나 두달 후 주가는 9·11 사태 전보다 올랐다.

2001년 9·11테러 이튿날 정오에 지연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코스피는 전날보다 64.97포인트(12.01%) 폭락한 475.60으로 마감했다. 사상 최대 하락 폭이었다. 그러나 13일 곧바로 4.97% 반등해 큰 충격은 없었다.

스페인 열차 테러(204년 3월11일), 보스턴 마라톤 테러(2013년 4월12일) 때도 세계증시는 2~3일간 2% 하락하는데 그쳤다. 2005년 런던 테러 때는 런던 및 유럽시장이 일시적 패닉을 겪었다. 그러나 미국 다우지수는 소폭 상승(0.3%)해 세계주가 하락폭은 0.4%로 제한적이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파리 테러가 펀더멘털(기초여건) 변수로 퍼진다면 다르게 봐야겠지만 현재까지 기업 펀더멘털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닌 만큼 무리해서 투자 관점이나 전략에 변화를 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걱정은 테러가 유럽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세계 1위의 관광대국인 프랑스는 관광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7.5%나 되기 때문이다. GDP 성장률이 0.3%에 그친 3·4분기 유로존(유로화사용 19개국) 전체 경제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최대 교역상대국 중 하나인 유럽이 흔들릴 경우 한국경제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한국의 10월 수출액은 434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줄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8월(-20.9%) 이후 6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특히 유럽연합(EU)은 중국의 최대 교역국이란 점도 불안요인이다. 중국의 '기침' 한번에 한국경제는 '독감'에 걸릴 수도 있다.

여기에 미국까지 12월 금리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어, 한국의 고민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도 충격을 받았다. 원·달러 환율 10.3원 오른 1174.1원에 마감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조용구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자극되면서 미 국채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면서 "통화 측면에서는 대표적 안전자산인 미 달러화와 일본 엔화 강세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자산의 지위를 가진 원화채권에는 금리 하락(채권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단기 충격은 불가피, 영향은 제한적 

이번 파리 테러와 관련해 선뜻 명쾌한 전망을 내놓은 사람과 기관은 없다.

최고경영자(CEO) 및 세계적 정치경제 컨설팅업체인 유라시아 그룹(Eurasia Group) 은 "경기회복세 둔화 및 정치적 대립 속에 이번 테러는 유럽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새로운 요인으로 대두될 것"이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 우려 요인이다"고 지적했다. 

JP모간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과 이번 테러 영향 등을 감안할 때 적어도 내년 중반까지는 달러 강세가 지속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달러 강세는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 요인이다. 실제 외국인은 이날 국내 주식시장에서 2400억원 넘게 순매도 하는 등 5거래일 연속 한국 주식을 팔았다.

그러나 지나친 걱정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AMP캐피탈은 "경제충격이나 시장불안이 장기화되지는 않을 전망"이라며 "과거 사례로 보아 시장은 단기내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 김위대 연구원은 "과거 사례와 시장 참여자 다수의 의견을 감안할 때 주 초 일시적 충격 반영 후 점진적 회복 양상을 보일 것"이라며 "다만 추가테러 및 보복작전 전개 등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