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한국인들, 내집마련하려 투자…선진국형 은퇴준비 미흡"

반응형

우리나라 사람들의 투자 목적은 주로 내집 마련과 교육비 마련으로 정작 필요한 은퇴 준비는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가 전세계 19개국 투자자 9500여명을 대상으로 '투자자 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 투자자의 58%가 투자 목적 1위로 주택 구매를 꼽았다.

이는 전세계 평균(49%)를 웃돌고 미국(21%), 캐나다(25%), 일본(40%) 등 선진국과 큰 격차를 보이는 수준이다.

자녀들 사교육비 부담도 압도적이었다. 한국 투자자의 42%가 교육비 마련을 위해 투자한다고 답해 전세계 평균(31%), 호주(17%), 미국(18%) 등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은퇴준비를 위한 장기적 투자는 49%에 불과해 선진국에 미해 매우 미흡했다. 중국(48%)과 함께 가장 낮다.

선진국인 일본(90%), 미국(89%), 독일(82%) 등지의 투자자들은 노후자금 마련이 거의 투자의 주 목적이었으며 전세계 평균은 67%다.

프랭클린템플턴 측은 "한국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전략보다는 주택구매와 교육비와 같은 현실적인 과제에 더 중점을 두는 성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당장 눈앞에 당면한 생활 문제 해결에 급급하다는 것이다.

한편 올해와 향후 10년간의 유망 투자군을 묻는 질문에도 한국 투자자들은 부동산에 낮은 기대를 드러냈다.

올해 부동산 투자에 기대하는 한국 투자자는 5%에 불과해 전세계 평균(19%)이나 아시아 평균(22%)을 크게 밑돌았다. 향후10년 기간으로도 한국은 10%로 전세계 평균(22%), 아시아(24%)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전세계 투자자들은 올해 가장 기대되는 투자대상으로 귀금속(21%)을 꼽고 이어 주식(21%)과 부동산(19%)이 뒤를 이었다. 향후 10년 동안은 부동산(22%)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크고 귀금속과 주식이 각각 19%로 집계됐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