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檢, 국민연금·삼성 정조준..."물산·제일모직 합병 청와대 개입 있었나"

반응형
▲ 검찰이 23일 오전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찬성한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국민연금공단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연합뉴스

'비선실세' 최순실(60)씨를 수사 중인 검찰이 23일 국민연금공단과 삼성 미래전략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삼성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204억원의 출연금을 낸 것이 청와대의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개입으로 이어졌다는 의혹을 밝히기 위해서다. 

검찰은 삼성이 두 재단에 모금한 돈이 '부정한 청탁'이라는 가능성을 두고 수사를 본격화 한 것이다. 다만 현재 밝혀진 혐의가 없는 만큼 의혹 확인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이날 오전 8시 40분께 강남구 논현동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포함해 삼성 미래전략실, 전 기금운용본부장인 홍완선 한양대 특훈교수의 사무실 등지에서 동시 압수수색을 벌였다.

삼성은 최씨와 그 관계자에게 단일 기업으로는 최고 액수를 지원했다. 두 재단에 출연한 204억원을 포함해 최씨와 딸 정유라씨의 회사인 '비덱스포츠'를 통해서도 35억원을 지원했다. 또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가 실소유한 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16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삼성의 지원금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정에서 청와대를 끌어들어들이기 위함이라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당시 두 회사의 주식 시장가격를 기준으로 결정된 합병비율은 제일모직 최대주주인 이재용 삼성 부회장 등 삼성 총수일가에게 유리하고 일반 주주들에게 불리하다는 주장도 제기됐었다. 

두 회사의 합병에 있어 외국계 헤지펀드인 엘리엇매니지먼트의 반대까지 일며 10%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공단의 찬성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공단은 외부 전문가들로 꾸려진 '의결권 행사 전문위원회'의 검토·의결 절차를 생략하고 7월 10일 기금운용본부 투자위원회가 독자적으로 찬성표를 던져 합병안이 승인됐다. 

이후 "정부 고위관계자의 압력이 들어왔다"는 공단 관계자의 진술로 인해 청와대 개입설은 더욱 불거졌다. 

국민연금의 합병 찬성 결정 보름 후인 지난해 7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이재용 부회장과 단독 면담을 한 정황이 드러나며 의혹은 더욱 가중됐다.

검찰은 이날 삼성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이를 두고 삼성 수뇌부의 개입 정황을 파악하려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다만 이재용 부회장은 수사 선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우선 최씨와 국민연금공단, 삼성 등의 제3자 뇌물 혀의 입증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박 대통령의 개별면담과 공단의 찬성표에 대한 관련성을 수사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수사에서 검찰이 느끼는 부담도 크다. 검찰 수사결과와 곧 출범예정인 특검의 조사내용이 다를 경우, '기업 봐주기'라는 비난을 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 측은 현재의 수사가 의혹 확인 수준이라는 입장도 비췄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압수수색은) 단서를 포착하기 위해서다. 여러 의혹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