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의 금융보안이 환골탈태 수준이다. 최근 농협은행이 높은 정보보안 수준을 해외에서 인정받고, 대포통장 기피 1순위로 꼽히는 등 '보안 농협'으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2014년 농협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건 이후 2년 만에 다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상을 받으려면 세 단계의 검증을 받아야 한다. 처음에는 한국 정보보안 리더십 공로상 수상자협의회의 자문과 후보추천을 거친다. 이 내용을 국제 정보시스템 보안자격협회 아태 사무국에서 공적으로 검증한다. 최종 선정은 국제 심사위원회가 한다.
지난 2014년 1월 코리아크레딧뷰로 직원 박모씨가 NH농협카드에서 빼낸 고객 정보는 7201만건이다. 이후 농협은 3월에 정보보안본부를 세우고, 외부 전문가를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로 영입했다. 본부는 이때부터 전행의 고객정보를 보호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1부 1단 6팀 59명으로 출발한 본부는 지난달 2부 1단 8팀 88명으로 규모를 키웠다. 농협금융지주가 주관해 외부 보안자문단을 운영하는 한편, 매월 셋째주 수요일에는 '정보보호의 날' 행사도 열고 있다.
'불시 점검'도 한다. 중앙본부와 영업점, 개인신용정보 수탁자 등이 대상이다. 직원 PC에 개인정보가 들어있는지도 실시간 확인한다.
농협은 대포통장과의 전쟁에서도 이기고 있다. 최근 농협은행 통장은 '사기범이 만들고 싶지 않은 대포통장 1위'로 꼽혔다.
28일 농협에 따르면, 금감원 공시 기준 대포통장 좌수가 2014년 4043좌에서 지난해 1311좌, 지난달 말 360좌로 줄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올해 들어 꾸준한 대포통장 모니터링과 창구직원들의 판단으로 349건 30억원에 달하는 피해를 막았다"고 말했다.
농협은행이 시행하는 사기 예방책은 4가지다. 첫째로, 지난해 5월 대포통장모니터링 시스템을 새로 만들었다. 둘째, 입금된 금액이 300만원 이상이면 30분간 인출을 지연시키는 '자동화기기 지연인출제'를 이어간다. 셋째는 '금융거래 목적 확인제도'다. 신규계좌를 개설하거나 장기 미사용 계좌를 재발급 받을 때 금융거래 목적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통장양도의 불법성과 불이익을 널리 알리는 캠페인도 벌인다. 그 결과 농협은행 통장은 사기범들이 대포통장을 모집 할 때 가장 꺼리는 통장이 됐다.
농협은행은 본부 모니터링시스템·영업점간 연계도 이어가고 있다. 피해금이 입금된 대포통장 예금주가 창구에서 출금을 요청하면, 경찰과 협업해 현장에서 검거하는 체계를 세워놨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송·물류산업의 새 비젼 제시, 메트로신문 주최 '2016 국제 운송/물류혁신포럼' (0) | 2016.08.08 |
---|---|
靑 "성주군민 불안 덜기 위해…사드 배치 타지역도 정밀 조사" (0) | 2016.08.05 |
한컴시큐어,생체인증 시장 본격 진출 (0) | 2016.07.28 |
한화토탈, 대법원 승소 "300억 세금 안내도 된다" (0) | 2016.07.28 |
[기로에 선 국민연금](中)사각지대 해소? 저소득층 외면한 연금법 개정안 (0) | 2016.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