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지문인식으로 대체

반응형
▲ 지난 8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오른쪽)과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이 지문 인식 본인 인증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공인인증서 비밀번호가 지문 인식으로 대체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내년 1월부터 공인인증서 본인 인증 방식을 비밀번호 입력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문 인식으로 바꾼다고 10일 밝혔다.

KISA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지문 인식 센서가 있는 스마트폰에 지문을 저장하고 나서 PC와 스마트폰을 연계해 인증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기존과 달리 액티브X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KISA는 내년 1월부터 대형 인터넷 쇼핑몰부터 비밀번호 없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결제업체 KG모빌리언스를 통해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유통, 결제, 금융회사 등에도 관련 기술을 전한다.

공인인증서는 올해 7월 기준 3341만명(65%)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액티브X를 설치해야 하고 영문, 숫자, 특수기호가 섞인 10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등 심하게 번거롭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쇼핑이나 인터넷뱅킹 등 전자금융거래 때 공인인증서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했던 규정을 폐지한 바 있다.

새로운 공인인증서 지문 인식은 관련 센서를 장착한 스마트폰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 

KISA 관계자는 "대형 제조사들이 지문 인식 센서를 탑재한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고 앞으로는 중저가 제품으로도 확대될 예정"이라며 "공인인증서 사용자에게는 지문 인식 방식이 활용도가 높고 반응도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