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국내 라면시장…15년만에 '2조원 시대' 돌파

반응형

국내 라면시장의 규모가 지난해 말 사상 처음 2조원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63년 국내에 라면이 처음 소개된 이후 50년 만이며 1조원 돌파 후 15년만에 이룬 성과다. 1조원 매출 달성은 국내 라면 판매 후 35년만인 1998년 기록했었다.

27일 농심에 따르면 2013년 국내 전체 라면시장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년(1조9800억원) 보다 1.5% 성장한 약 2조100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라면 업계의 매출이 신장한 것은 Modify(변경하다)와 Consumer(소비자)의 합성어로 기존의 레시피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기호에 맞게 섞어 먹거나 새로운 조리법을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 새로운 소비 계층인 '모디슈머'가 일으킨 '짜파구리' 열풍과 함께 신라면블랙·참깨라면·불닭볶음면·팔도비빔면 등 각 사의 '전략제품'이 시장을 창조하고 확대한 데 따른 결과라고 농심 측은 분석했다.

서로 다른 제품을 섞어먹는 트렌드는 이른바 '국물없는 라면시장'을 확대하면서, 각 사의 제품 매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연초부터 거세게 불었던 '짜파구리 열풍'은 농심 짜파게티와 너구리의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짜파게티는 2013년 누적 매출 순위에서 안성탕면을 제치고 처음으로 2위에 올랐으며, 너구리도 연 매출 1000억 파워브랜드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줬다.

오뚜기는 전략제품인 참깨라면(16위)의 인기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라면업계 2위 자리에 올랐다. 지난해 4월 출시된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10월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연간 판매순위 19위에 올랐다. 팔도도 여름철 전략제품 '팔도비빔면'을 8위 (2012년 13위)에 올리며 비빔면 최고 전성시대를 누렸다.

또 소비자 기호를 넓힌 프리미엄 라면의 활약도 두드러졌다. 농심 신라면블랙은 재출시된 이후 꾸준한 인기를 모으며 15위에 랭크, 프리미엄 라면시장을 성공적으로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풀무원의 꽃게짬뽕도 시장안착에 성공해 18위에 이름을 올렸다.

농심 면마케팅팀 심규철 팀장은 "2013년은 하얀 국물 라면이 빠진 자리를 각 사의 전략제품과 모디슈머 소비 트렌드가 대신 메꿨다"고 평가하며, "세계 라면 소비가 2012년 최초로 연간 1000억개를 넘어섰고 한국도 2조원대 시장에 진입하는 등 국내·외 라면시장은 더디지만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추세이다"고 설명했다.

심 팀장은 또 "지난 1980년대 농심이 '라면은 국물맛'을 강조하며 신라면·안성탕면 등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주도했듯이, 올해부터는 소비 트렌드를 잘 반영한 제품이 전체 라면시장의 규모를 키울 것이다"며 "기름에 튀기지 않은 저칼로리 건면 제품이나 다양한 맛의 신개념 용기면들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을 때, 국내 라면시장은 또 한번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으로 전망했다.

한편 세계라면협회의 세계 각국 라면소비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소비된 총 라면은 35억2000만개로 세계 7위에 랭크됐다. 이는 국민 1인당 년간 69개의 라면을 먹은 것에 해당한다.

1위는 홍콩을 포함한 중국으로 440억3000만개로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 141억만개, 일본 54억1000만개 등으로 뒤를 이었다.

▲ 국내 라면시장 규모(단위 억원)/한국식품연감
  •  정영일 기자(prm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