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날 예결위 공청회에서는 법인세 인상 문제를 두고 전문가들의 팽팽한 찬반 공방이 이어졌다.
현재 야권은 법인세 인상안을 포함한 세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국회의장 권한으로 예산 부수법안으로 지정해 본회의에 바로 부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여당은 법인세 인상은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투자·일자리 감소와 경기 위축 부작용이 발생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한 끝내 야권이 법인세 인상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부가세 인상 등을 공론화하자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김유찬 홍익대 교수는 사전에 배포한 진술서에서 "소득세 최고세율보다 법인세율이 너무 낮아서 개인사업자에 비해 법인의 세 부담이 너무 낮다"며 "기본적으로 법인세와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는 세수 부족이 아니라도 형평성 차원에서 과세가 강화돼야 하는 분야"라고 말했다.
윤영진 계명대 교수도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 대안은 과세 여력과 경제 위기 극복 차원에서 증세수단으로서 필요한 정책대안"이라며 "정부가 추진해온 부자 감세 정책으로 대기업들은 세금을 덜 내고, 중견·중소기업들의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청회에 앞서 지난 24일 국회 경제재정포럼이 의원회관에서 기획재정부 최상목 제1차관, 최영록 세제실장을 초청한 가운데 열린 2016년 세법개정안 조찬간담회에서도 법인세 인상 문제가 거론됐다.
반면 새누리당 최교일 의원은 "많은 외국 국가가 재정적자를 하면서 예산을 편성하는데 그 흐름에 맞춰가야 한다"고 반박했으며, 백승주 의원은 "세율을 올리지 않았는데도 세수가 20조원이나 더 걷혔다는 것은 세율을 높이지 않아도 세금을 잘 걷을 수 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C 뉴스룸 손석희'에 네티즌 칭찬 릴레이 왜? (0) | 2016.10.25 |
---|---|
추미애 "국민 중심 개헌 이뤄져야..음모적 개헌은 용납치 않을 것" (0) | 2016.10.25 |
대형마트 쇼핑 20·30대↓ 50대↑ (0) | 2016.10.25 |
[지하철은 문화를 싣고] 을지로입구역에서 만나는 파리의 밀랍인형 박물관 '그레뱅 뮤지엄' (0) | 2016.10.24 |
'수익 악화' 캐세이퍼시픽, 직원 복지 없애 만회?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