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금융가 사람들] 비관론자의 눈으로 봐도 하반기 긍정적

반응형
▲ 이대상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3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하반기 코스피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8.36%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진영기자 son@
▲ 이대상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3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하반기 코스피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8.36%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진영기자 son@

올해 하반기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국내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좌우하는 국내 기업들의 실적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대상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3일 메트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베어 컨센서스' 기준으로 올해 하반기 코스피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8.36%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반 컨센서스'는 애널리스트 추정치의 평균 값을 사용하는데 반해 '베어 컨센서스'는 최저값을 컨센서스(시장 예상치 평균)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시장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 중에서 가장 비관적인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비관론자의 눈으로 봐도 하반기가 긍정적으로 보이는 이유"라면서 "2분기 실적이 부진하게 나오더라도 3분기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올 들어 베어 컨센서스가 가장 많이 상승한 업종은 디스플레이와 화장품·의류 업종이다. 이들 업종이 하반기에 강한 실적 개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 주가가 많이 올라왔지만,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것. 실제로 이들 업종은 올해 주가 상승도 두드러졌다. 주간 단위로 코스피 저점이었던 지난 3월 14일부터 6월 25일까지 디스플레이는 22.9%, 화장품·의류 22.1% 상승했다. 같은 기간 베어 컨센의 상향 조정된 폭은 디스플레이 86.5%, 화장품·의류 17.7%였다. 

화장품 업종의 경우 중국 모멘텀이 다시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온라인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브랜드샵 시장이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 변화에 따른 업체별 위상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올해는 이익이 성장하거나 상향 조정되는 업종은 희소하다"고 언급한 뒤 "이 때문에 이들의 주가는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고 강조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