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그룹이 사회적 반대 여론에 가로막혀 결국 손을 들었다.
삼성그룹은 올 상반기 새롭게 도입하려던 공채 전형을 전면 유보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사실상 신규 공채 계획의 무효화다.
논란의 화근은 '대학총장 추천제'였다. 대학별로 할당된 인원에게 서류 면제 혜택을 주겠다는 이 계획은 대학 서열화 조장, 지역 차별 등의 논란을 불렀다. 일부 대학 총학생회는 삼성의 대학총장 추천제 거부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몇몇 대학 교수들은 SNS를 통해 '대학이 취업 기관으로 전락됐다는 현실을 입증한 사태' '기업이 대학 위에 올라 앉으려 한다' 등의 강도 높은 비난 의견을 냈다.
기업이 공채 제도를 바꾸는 것은 자유다. 입시 제도처럼 정부 합의를 거칠 필요도 없다. 삼성 이외에 논란이 될 만한 공채 전형을 운영하는 대기업이 수두룩한 것도 현실이다. 장기 근속 자녀에게 서류 전형부터 최종 면접까지 가산점을 주는 모 자동차 회사가 대표적이다.
삼성은 씁쓸한 기분일 것이다. 당초 신규 공채 전형의 핵심은 서류 전형 부활이었지 총장 추천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도화선이 된 대학별 총장 추천 인원 정보는 의도치 않게 외부로 유출됐다. 국위 선양과 일자리 창출에 어느 기업보다 앞선 삼성으로서 전국적인 비난은 아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삼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사회적 책임이 이만큼 막중함을 증명한 사례로 기억해야 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삼성이 더욱 성숙한 대표 기업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
- 장윤희 기자(unique@)
반응형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문점 개시통화에서도 北 이산상봉 제안 반응 없어 (0) | 2014.01.29 |
---|---|
로또 1등 당첨자 73% "자동 선택으로 구입했다" (0) | 2014.01.29 |
'갑의 횡포' 남양유업 김웅 대표 집행유예…사회봉사 160시간 명령 (0) | 2014.01.28 |
국시원, 의사 국가고시 합격률 93.8% 발표 (0) | 2014.01.28 |
검찰, '1조3천억 사기' 동양 현재현 회장 등 11명 기소 (0) | 201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