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 ||
남북 이산가족 상봉으로 칭찬을 듣던 대한적십자사가 스스로 무덤을 파고 말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 의원이 적십자로부터 제출받은 '법정감염병 발생지역 단체 헌혈 현황'을 분석해 발표하자 적십자의 혈액 관리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적십자는 법정감염병 발병 사실을 알고도 단체 헌혈을 실시했다. 적십자 혈액원은 2010년부터 2013년 7월 말까지 폐결핵, 볼거리 등이 발생한 학교에서 총 20차례에 걸쳐 헌혈을 받았다. 감염병 환자의 채혈은 금지돼 있지만 올해 상반기에만 벌써 5차례 헌혈이 진행됐다.
더욱이 적십자는 감염된 혈액을 출고하기도 했다. 지난해 가을 헌혈자 기록카드가 뒤바뀐지도 모르고 채혈 후 바뀐 혈액을 출고했고 관리 소홀로 인해 2009년부터 4년간 247억원에 달하는 9만1000리터의 혈액을 폐기한 적이 있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이런 문제가 반복되는 것은 적십자의 헌혈 관리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다. 업무 관련 인원이 턱없이 모자라고 헌혈 관리에 필요한 매뉴얼 자체가 부재하다. 이번 문제도 사전 조사 없이 단체 헌혈 시 의사 한 명의 판단에 모든 것을 의존했기 때문이다. 감염되거나 오염된 혈액이 유통되면 함께 유통된 혈액도 폐기해야 한다. 국민의 소중한 온정이 낭비되지 않도록 적십자 스스로 불명예를 벗어릴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반응형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SNS] 네이트온 5.0 공개에 누리꾼 비난 일색 “업데이트할랬더니 광고 도배?” (0) | 2013.08.30 |
---|---|
한푼이 어디…보험도 온라인 대세 (0) | 2013.08.30 |
한푼이 어디…보험도 온라인 대세 (0) | 2013.08.30 |
회사채 1억3천만원 보유 이화석씨, STX 파산신청 이유는? (0) | 2013.08.29 |
증시 전문가 "8.28 전월세대책 건설주 등 국내증시에 호재"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