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겪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통증학회는 '제3회 통증의 날 캠페인'을 맞아 최근 5년간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 환자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상포진 환자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연 평균 약 8.5% 증가한 반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겪는 환자는 약 15.4% 증가해 신경통을 겪는 환자가 1.8배 더 많이 증가했다고 최근 밝혔다.
또 대상포진 환자와
대상포진 후 신경통 환자를 연령별로 비교해보면 전체 대상포진 환자 가운데 60세 이상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5년간 평균 32.7%에
그쳤던 반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경우 60세 이상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57.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상반신의 중심 부위 즉, 가슴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통증학회가 지난해 1월부터 12개월 동안 전국
11개 2, 3차 의료기관 마취통증의학과를 방문한 1414명의 대상포진 후 신경통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흉추부(상반신의 중심, 가슴) 52.9%, 삼차신경(얼굴과 머리에서 오는 통각과 온도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 15.6%, 요추부(허리)
13.8%, 경추부(목) 13.1%, 천골(골반) 3%, 머리 1.4%, 무포진성 0.1% 순으로 발생했다.
이와 함께 학회는 환자
증가에 따라 관련 진료비도 2008년 약 63억 원에서 지난 해 약 119억 원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심재항 대한통증학회
홍보이사는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초·중기 암환자가 느끼는 통증보다 더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특히 노인 환자에서는 통증으로 인한 삶의 질
수준이 심각하게 낮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학회는 통증의 날 캠페인을 통해 전국의 의료기관, 보건소 등지에서
건강강좌를 개최하고 지속적으로 통증에 대한 올바른 인식 증진을 위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황재용기자
hsoul38@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