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대한상의 "한국, 美 금리인상 리스크 없다"

반응형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15일부터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 '미국 금리 인상 도미노'에서 한국은 타격이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美 금리인상 리스크 평가/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와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국 등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 외환 대응력과 부도 위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반면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말레이시아아르헨티나는 '위험국'으로 평가됐다.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에서 시작된 '테킬라 효과'가 현재로서는 한국에서 재현되기 어렵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미국 금리 인상은 멕시코 금융위기를 불렀고 이는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을 거쳐 1997년 한국까지 번졌진 바 있다. 이 같은 연쇄 영향이 마치 멕시코 전통술 테킬라에 취한 것 같다고 해 데킬라 효과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앨런 그린스펀 전(前)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 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1년 미만 단기외채)은 2700억달러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달러)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 중 한국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덧붙였다.

CDS 가산금리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의 가산금리를 말한다. 금리가 높을수록 부도 위험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특히 "지금 우리 외환보유고는 1997년 외환위기 때보다 14배 이상 증가했고 위기 대응력도 크게 높아졌다"며 "2013년 미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 발언을 했을 때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자금을 빼내 해당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폭락했지만 한국은 오히려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테킬라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터키, 남아공,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주요 위험국에 대한 수출부진에 대해서는 주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이들 신흥국은 중국 경제 둔화, 원자재가격 하락 등의 악재까지 겹쳐 최악의 시나리오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기업의 대응전략으로 ▲ 무역보험, 환변동보험 통한 환리스크 감소 ▲ 위험국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현지기업 지급 불이행 최소화 위한 바이어 관리능력 강화 ▲ 안전성 높은 신흥국에 대한 선제 투자 등을 제시했다.

전수봉 경제조사본부장은 "미국의 금리인상은 7년간 지속돼온 저금리 시대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사건"이라며 "기본적으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나, 신흥국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과 우리 기업의 자금사정악화 가능성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