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돈 많은 부자는 불황이 즐겁다

반응형

돈 많은 부자는 불황이 즐겁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경기가 어렵지만 부자들의 씀씀이는 줄어들지 않는다. 상위 1% 부자만 가입할 수 있다는 백화점 VIP 고객 수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여행 비수기인 11월에 해외로 여행을 떠난 내국인이 24만200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 전달보다는 2000명 늘었다. 올해 3분기 내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 카드로 해외서 지출한 금액은 37억8400만달러에 달했다. 또한 부자들의 은퇴 후 월평균 생활비는 715만원으로 일반인(평균 226 만원)의 3 배 수준이었다. 

▲ 신세계 본점/신세계

◆상위 1% VVIP 

백화점들의 VIP고객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상위 1% 부자들이 소유한 부의 규모가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올해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등 4개 백화점의 VIP 고객 수는 백화점별로 지난해보다 6~28% 증가했다. 특히 신세계백화점이 VIP 고객이 급증했다. 연간 800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에게 가입 자격이 주어지는 신세계백화점 VIP 회원 수는 지난해보다 28.1% 늘었다. 연간 2000만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갤러리아백화점 VIP 고객도 작년보다 6% 늘었다. 특히 연간 5000만원 이상 구매하는 파크제이드 블랙 이상의 고객은 지난해보다 12%나 증가했다.

롯데백화점도 연간 2000만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MVG 회원 수가 작년보다 8.9% 늘었다. 현대백화점도 연간 500만원 이상 구매 고객이 가입할 수 있는 VIP 회원 수가 지난해보다 9.1% 증가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백화점 업계의 전반적 영업이익률은 둔화하는 추세지만 주요 백화점마다 매출 기여도가 큰 VIP 고객 대상 마케팅을 꾸준히 강화하면서 VIP 고객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인천국제공항 출국장/뉴시스

◆비수기에도 해외여행 

하나투어는 11월 해외여행을 떠난 내국인 고객이 24만200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휴가 몰린 9~10월이나 방학이 시작되는 12월 보다 11월은 여행 비수기로 꼽히지만 해외로 떠난 관광객이 늘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지난달 관광객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여행지는 남태평양(32%)"이라며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따뜻한 휴양지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일본의 지진 악재에도 일본행 여행객은 작년 11월에 비해 15% 정도 늘었다.

모두투어를 이용해 11월 해외여행을 떠난 사람은 14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했다. 모두투어에서도 괌 등 남태평양으로 여행을 떠난 사람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3.7%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여행을 떠난 국민은 186만5000여명으로, 국내 외국인 관광객보다 27만8000여명 더 많았다. 관광공사가 잠정 집계한 지난 10월 관광수지는 3억3050만달러 적자였다. 2014년 11월 2억8390만달러 흑자를 낸 뒤 23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내국인이 해외에서 쓴 카드 사용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한국은행 '2016년 3.4분기 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사용 실적'에 따르면 지난 7∼9월 내국인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 카드로 해외서 지출한 금액은 37억8400만달러로 집계됐다. 약 4조5653억원 규모다. 전분기보다 9.0%,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늘어난 수치다. 

◆한국 부자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의 '2016 한국 부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 부자(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개인)는 약 21만1000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18만2000명)보다 약 15.9% 증가한 규모다. 2014년 부자 수의 전년대비 증가율 8.7%와 비교해 크게 높아졌다. 이들 한국 부자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은 약 476조원(1인당 평균 22억6000만원)으로 추정된다. 2014년 406조원에 비교해 7.3%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국민의 상위 0.41%가 가계 총 금융자산의 15.3%를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한국 부자의 44.7%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의 자산관리 최대 관심사(1순위)는 '금융상품 및 금융시장 정보'로 33.3%의 부자가 이에 대해 가장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부동산 투자정보'(29.5%), '자산 포트폴리오 설계/조정'(11.5%) 등을 꼽았다. 

부자들의 은퇴 후 월평균 생활비는 715만원으로 일반인(평균 226 만원)의 3 배 수준이었다. 한국 부자는 은퇴 후 '적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생활비를 월평균 약 715만원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는 한국 부자의 현재 월평균 소비지출액의 약 76%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일반가구의 은퇴 후 월평균 적정 생활비 226만원에 비해서는 약 3배 높다. 

보유 금융자산 및 총자산이 증가할수록 은퇴 후 필요 생활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상식에 부합하며, 연간 가구소득 3억원 이상 부자(월평균 880만원)와 1억5000만원 미만 부자(월평균 536만원)는 은퇴 후 필요 생활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