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남녀직장인
1266명을 대상으로 '부모님 부양에 대해' 온라인 및 모바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모님께 정기 혹은 비정기적으로 '용돈을 드린다'는
직장인이 2명중 1명(53.4%)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님을 부양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은 15.7%로 6명중 1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 중 ‘부모님께 용돈을 드린다’는 직장인은 53.4%로 집계됐다. 특히 20대 직장인 중에는 42.2%, 5명중 2명정도만
부모님께 용돈을 드린다고 답했다. 30대(63.0%)와 40대 이상(77.5%)의 직장인 중에는 과반수이상이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고 있다고
답했다.
용돈을 드리는 직장인은 미혼직장인(48.9%)보다 기혼직장인(68.6%)이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용돈을 드리기 시작한 시점은 ‘첫 직장에 취업한 후부터’가 66.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결혼한 후부터’(12.3%)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기 시작했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용돈을 드리는 시기(*복수선택)는 ‘매월’ 정기적으로 드린다는 직장인이 53.8%로 가장 많았고, 비정기적으로는 ‘생신’(49.3%)과
‘명절’(40.7%)에 드린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용돈의 규모(*아이보육을 맡기는 경우 보육비 이외의 순수한 부모님 용돈 규모)는, 평균 328만 원정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20대는 연평균 295만원, 30대는 연평균 336만원, 40대는 연평균 398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부모님의 연령대를 조사한 결과 20대 직장인의 부모님 중에는 50대(93.2%)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고, 30대 직장인의
부모님은 60대(53.4%)가, 40대직장인의 부모님은 70대(45.6%)가 가장 많았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직장인들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가 아직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 부모님 용돈을 드리는 직장인이 적을 수 있으나,
일면으론 20~30대 젊은 직장인들 중 상당수가 부모님 부양을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으로 여기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