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박성훈의 IT도 인문학이다]스마트폰과 법정스님의 난초

반응형
▲ 법정스님 진영

박성훈의 IT도 인문학이다

얼마 전 거의 10년 만에 처음으로 휴대전화를 집에 놓고 출근했다.

'점심 때 만나기로 한 사람과 어떻게 연락하지?' '회사에서 찾으면 어쩌나.' 불안한 마음을 다잡기가 쉽지 않았다.

가끔 신문에 나오는 '휴대전화 집착' 증세에 대한 기사를 보며 '전화기 없다고 하늘이 무너지나?' 하고 혀를 찼던 기억이 포개졌다.

일단 집에 두고온 전화로 연락해 가족을 거쳐 점심 미팅 당사자 연락처를 알아냈고 큰 문제 없이 식사를 같이 했다. 첫 미션을 해결한 까닭일까. 이후에는 스마트폰이 없는 현실을 받아들이게 됐고 스트레스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노트북을 켜고 인터넷을 연결한 뒤에는 스마트폰의 부재가 더더욱 느껴지지 않았다. e메일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연락처, 신문사 동료들로 채워진 인터넷메신저 등으로 소통했다.

같은 부서의 상사는 '하루 종일 전화를 왜 받지 않느냐'며 메신저로 다그쳤지만 사정을 이야기하자 '다행이다. 크게 다친 줄 알았다'며 걱정까지 해주신다.

다른 근무지로 이동할 때 스마트폰이 없으니 심심하긴 했다. 새로 나온 자동차, 메이저리그 소식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인데 어쩔 수 없이 가방에 모셔 둔 책을 꺼냈다.

인터넷 만물상점 '아마존'을 창업한 제프 베조스의 일대기를 다룬 책인데 한번 잡으니 놓기 어려울 정도로 재미있었다.

베조스는 스티브 잡스만큼 직원들을 몰아부치는 '현실 왜곡장'의 대가이지만 멍청할 정도로 크게 웃고 20대 중반에 머리가 빠지기 시작한 평범한 아저씨이기도 했다.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었다면 베조스의 시시콜콜한 부분을 알 수 있었을까.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법정 스님은 지인으로부터 난초 화분 2개를 선물 받아 귀하게 키웠다. 정성을 다해 키우니 나름 재미가 있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어느 날 햇볕에 화분을 내두고는 깜빡한 채 외출했다가 돌아오니 난초가 시들었다. 다시 정성을 다해 가꿔 원상회복을 했지만 이후에는 난초가 신경이 쓰여 외출을 삼갔다.

하지만 3년 뒤 난초를 친구에게 선물하면서 서운함보다 더 큰 홀가분함을 느꼈다. 이후 스님은 조금씩 버리는 삶을 살았다.

법정 스님의 불후의 명작 '무소유'의 일부분이다. 3년 기른 난초는 아니지만 반나절 동안 내 품을 떠났던 스마트폰 덕에 '버리는 삶'의 맛을 살짝 음미할 수 있었다.

  •  박성훈 기자(ze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