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승덕
슬픈 12월이다. 그동안 마주했던 사람들과의 이별소식이 연이어 들린다. 바야흐로 인사철이다. 삼성, LG 등 대기업을 비롯해 중견·중소기업, 은행·증권·보험·건설 등 모든 업권에서 연말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
임원이든 직원이든 가벼운 인사는 없다. 경중을 따질 수 없다. 하지만 더욱 가슴졸이는 건 임원들이다. 회사 임원들은 대부분 임기가 1년이다. 그래서 연말이 두렵다. 하루아침에 짐을 싸라는 통보를 받는다. 20년, 30년의 직장생활. 연임이 안된다는 비보를 듣는다. 슬픔의 하중을 한꺼번에 받아내야 한다. 상사로서의 자존감이 사라지는 순간이다. 가족에게도 면목이 없다. 명함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당장 다른 명함을 찾아야 한다. 쉽지 않다. 불황이다. 임원 직함을 달았던 사람이 안착할 곳이 많지 않다. 갈 곳이 있다면 행복할 따름이다. 그동안의 영광은 이제 과거사다. 현재진행형이 될 수 없다. 옛날엔 그랬지라는 말이 있을 따름이다. 위로 전화가 울리지만 선뜻 받기가 두렵다. 휴대폰에 저장된 사람도 정리해야 한다.
재력이 있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부족하면 불편한 것이 돈이다. 아내가 훌륭한재테크를 했다면 복이다. 그러나 샐러리맨이 얼마나 돈을 모을 수 있었을까. 오래 살 리스크도 있다. 100세시대에 얼마만큼의 돈이 충분할까. 집이라도 있으면 다행인 사람도 있을 터.
회사 생활하면서 집에는 얼마나 신경을 썼을까. 회사를 위해 명예를 위해 달렸던 사람들이다. 윗사람 눈치보고, 아랫사람 챙기고 눈코뜰새 없었다. 그래서 가정은 나몰라라 한 사람이 대부분이다. 오죽하면 우리 시대 아버지상은 '철저한 무관심'이 미덕이란 말이 나왔을까.
그러니 아들, 딸에게 환영받을 일도 없다. 어느날 아들의 수학숙제를 거들었더니 "언제부터 아빠가?"라며 짜증을 내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렇게 무관심하던 아빠가 어느날 갑자기 왜 나를 귀찮게 하느냐는 것이다. 아내에게도 남편은 마찬가지다. 회사를 그만 두고 집에 있으면 오히려 밖에 나가 있는 것이 편하다고 할 지 모른다. 집에서 삼시 세끼를 찾으면 '삼식이' 소리를 듣는 세상이라고 한다. 슬픈 현실이다.
회사에서 박수칠 때 떠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행복하다. 인생 이모작을 준비했다면 말해 무엇할까. 그러나 대부분은 어느날 갑자기 집에 가라는 말을 듣는다. 냉엄한 샐러리맨의 현실이다. 그나마 최근 인사에선 '사상 최대 임원인사'라는 뉴스가 크게 줄었다. 경기침체 탓이다. 경기가 좋을땐 주요 기업들이 앞다퉈 사상 최대 인사를 냈다. 그만큼 집에 가는 사람도 많았다는 의미다.
'정조 이산 어록'이란 책에 이런 말이 나온다.
'나라를 다스리는 요체는 인재를 얻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는데…평소에 마음을 두고 고르고 살펴 재능과 기량을 감별하여 각기 그 쓰임에 알맞도록 한다면 이 세상의 인재로도 한세상의 일을 다 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매번 미리 갖추고 평소에 대비하지 못하여 급한 상황에서 구차히 충원하면 인재가 누락되고 재능을 인정받지 못한다는 근심을 면하지 못한다….'
각 기업의 인사는 한마디로 경영권이다. 왈가왈부 할 수 없다. 부디 이번 인사로 인해 후회하지 않길 기대할 뿐이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이슬 효과? 소주가격 줄줄이 오른다 (0) | 2015.12.06 |
---|---|
한국관광공사와 눈맞으러 가요~ (0) | 2015.12.06 |
신용카드 부가혜택 축소·폐지 최근 3년간 약 80건 (0) | 2015.12.06 |
몸집 불어난 의약품업종 (0) | 2015.12.06 |
오바마 '캘리포니아 총기난사' 대국민 담화 발표 (0) | 2015.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