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간 유가증권시장에서 몸집이 가장 가장 많이 불어난 업종은 의약품이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말부터 올해 말(11월 말 기준)까지 유가증권시장(이하 코스피) 내 업종별 시가총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18개 업종 가운데 15개 업종의 시가총액이 증가했다.
이 중 같은 기간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 증가율(21.3%)을 웃돈 업종은 모두 11개였다.
가장 눈에 띄는 업종은 단연 의약품이다. 의약품 업종의 시가총액은 2011년 말 10조2천380억원에서 올해 말 28조5천530억원으로 178.9% 늘었다. 특히 작년 말(14조5천50억원)과 비교하면 올해에만 시가총액이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 내 의약품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1년 0.98%에서 올해 2.27%로 1.29%포인트 높아졌다.
비금속광물 업종의 시가총액이 2011년 3조1490억원에서 올해 7조2360억원으로 129.8% 늘어나 두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의료정밀(89.0%), 음식료품(80.9%), 서비스업(79.1%), 전기가스업(73.3%), 종이목재(57.2%), 섬유의복(50.4%) 등의 순서를 나타냈다.
반면 철강금속(-33.7%)은 업황 부진으로 2011년 59조8820억원에서 올해 39조720억원으로 시가총액이 줄었다. 같은 기간 운수장비(-24.6%)와 건설업(-15.4%)의 시가총액도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종목별 시가총액 증가율 1위는 한미약품의 지주회사인 한미사이언스가 차지했다. 한미사이언스는 2011년 말만 해도 시가총액이 1725억원에 불과했으나 지난달 말에는 8조5206억원으로 4840.6% 늘어났다.
한미약품(4위)도 지난달 5조원 규모의 당뇨병 치료제 신약 기술 수출 등 올해에만 다국적 제약사를 대상으로 4건의 대규모 기술 수출을 체결하면서 덩치를 크게 키웠다.
한미약품의 시가총액은 지난달 말 8조1233억원으로, 2011년(4179억원)에 비하면 1,843.9% 늘어났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슬픈 12월 (0) | 2015.12.06 |
---|---|
신용카드 부가혜택 축소·폐지 최근 3년간 약 80건 (0) | 2015.12.06 |
오바마 '캘리포니아 총기난사' 대국민 담화 발표 (0) | 2015.12.06 |
<KB투자증권과 함께하는 자산관리>(15) 손실보전각서, 얼마나 믿어도 될까? (0) | 2015.12.06 |
계좌이동제 한, 변경 13만5000건, 해지 14만5000건 (0) | 2015.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