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벼랑 끝' 일동제약 지주사 전환 무산…녹십자 반대표 던져

반응형

일동제약의 지주사 전환이 녹십자의 반대로 무산되며 일동제약과 녹십자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일동제약은 24일 지주사 전환과 관련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분할계획 승인안을 의결한 결과 찬성 54.6%, 반대 45.4%로 가결요건인 3분의 2 찬성을 만족시키지 못해 해당 안건이 부결됐다고 밝혔다.

일동제약 경영진이 끝까지 지주사 전환을 호소한 가운데 주총에는 의결 주식 수 2343만여 주의 93.3%인 2186만여주가 참석했다. 하지만 일동제약의 지분 29.36%를 소유한 녹십자와 9.99%를 소유한 피델리티 등의 투자자들이 반대표를 행사하며 일동제약의 지주사 전환을 막아섰다.

이에 따라 일동제약의 경영권을 둘러싼 현 일동제약 경영진과 녹십자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녹십자가 일동제약을 인수·합병(M&A)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녹십자가 앞서 "일동제약의 미래 가치와 관련해 지주회사 전환에 반대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M&A설이다.

우선 일동제약 현 경영진의 보유 지분율(34.2%)을 감안하면 녹십자가 장내에서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거나 피델리티를 인수해 일동제약 경영진보다 많은 지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게다가 두 회사의 사업 영역이 다른 점도 간과할 수 없으며 녹십자는 해외 시장에, 일동제약은 국내 영업에 조금 더 강점이 있어 M&A 후 성장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에 대해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두 회사의 M&A가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이를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국내 빅5 제약사 중 하나인 녹십자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해 일동제약의 경영권이 위태로운 것은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