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서울시, '공공공간' 혁신위해 '뉴욕'과 머리 맞댄다

반응형

서울시와 공공 공간 운영혁신을 두고 머리를 맞댄다.

서울시는 '공공공간 운영혁신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2016'을 '서울과 뉴욕 공공공간 혁신을 말하다' 라는 주제로 10월 27 ~ 28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행사에는 뉴욕시를 중심으로 활약하는 전문가들과 하이라인, 브루클린브릿지파크, 거버너스아일랜드 등을 운영하는 민간단체 대표들, 뉴욕시 담당팀장 등이 참여한다. 

뉴욕시의 민간단체에서는 우선 하이라인파크를 조성 및 운영하는 하이라인의 친구들(FHL)의 부대표인 마틴 넴하드가 초청됐다.

전문가, 학생, 일반인들도 참여 가능한 메인행사는 10월 28일 오후 1시30분부터 명동 포스트타워(중앙우체국) 10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된다. 참가를 위해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달 21일까지 사전등록 신청을 해야한다.

심포지엄 첫째 날은 국내외 발표자 및 심포지엄 조직위원회, 지역 활동가, 서울시 관계자들이 함께 서울 소재 대표 공공공간을 견학하고 서울의 공공공간에 대한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 현장별로 심도 있게 논의한다.

심포지엄 둘째날은 서울시장의 축사로 문을 열어 기조강연과 서울과 뉴욕의 공공공간 매칭 세션발표(본 세션), 종합발표(세션 커멘터리), 청중토론(Floor Discussion)순으로 진행된다. 

이후 4개 세션발표에서는 뉴욕을 대표하는 공공공간인 The High Line, Brooklyn Bridge Park, Central Park, Governors Island와 서울을 대표하는 공공공간인 서울역 고가도로, 마포 문화비축기지, 서울어린이대공원, 노들섬을 각각의 공간특성을 살린 주제로 각각 매칭해 공동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해외초청 발제자와 매칭하는 국내전문가로는 조경민 서울산책 대표(서울역 7017 프로젝트), 이원재 문화연대 소장(마포 문화비축기지), 이강오 원장(어린이대공원), 김정빈 시립대 교수(노들섬)이며 이 두 명씩의 발제자가 각자 발제를 마치면, 상호 토론을 통해 현장감 있는 사례들을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광빈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서울과 뉴욕, 두 도시 공공공간의 과거와 미래를 함께 살펴보며 다양한 운영방법과 가치 창출의 사례들을 공유하는 이번 국제심포지엄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며 "공원은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후 어떻게 관리하고 운영하느냐 이며 이를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 공원을 활성화시키는게 더욱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