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윤덕노의 푸드스토리] 고구마는 일본어 사투리?

반응형
 
 
햇고구마가 한참 쏟아져 나오는 계절이 됐다. 그런데 고구마라는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있을까? 고구마는 순수 토종 우리말일 것 같지만 아니다. 남미가 원산지인 고구마는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진 작물이다. '빵'이 알고 보면 포르투갈어 '팡'에서 비롯된 것처럼 고구마도 일본어에 뿌리를 둔 외래어다. 고구마가 처음 우리나라에 전해질 때 함께 들어왔다.

고구마는 조선 영조 때인 1763년에 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갖고 와 재배하기 시작했다. 조엄이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오며 쓴 '해사일기'에 고구마 종자를 들여오는 과정이 적혀있는데 여기에 '고구마'라는 이름의 유래도 나온다.

고구마를 본 조엄은 생김새가 마 뿌리 같기도 하고 무 뿌리와도 비슷하며 토란처럼 보이기도 하고 오이와도 닮았다고 했다. 이름은 감저(甘藷)라고 하며 효자마(孝子麻)라고도 부르는데 왜(倭)의 발음으로는 고귀위마(高貴爲麻)라고 한다고 적었다. 효자마의 일본어 발음인 고우시마(こうしま)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고구마는 여기서 비롯된 이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말로 고구마는 사츠마에서 온 뿌리 작물이라는 뜻에서 '사츠마 이모(いも)'라고 하는데 우리말 고구마는 왜 엉뚱하게 효자마(孝子麻)라는 뜻의 '고우시마'를 어원으로 삼게 된 것일까?

대마도에서는 일본 본토와 다르게 고구마를 효자마, 즉 '효자가 심은 마'라고 불렀는데 기근이 들었을 때 효자가 고구마를 심어 늙은 부모를 봉양했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통신사 조엄이 대마도에서 종자를 가져올 때 본토에서 부르는 이름이 아닌 대마도에서 부르는 이름으로 소개한 것이다./음식문화평론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