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랜드파크 애슐리·자연별곡, 임금 채불 84억…피해 인원 4만4000명

반응형

애슐리·자연별곡을 운영하는 이랜드파크가 1년간 약 84억원에 달하는 임금과 수당을 주지 않은 것과 관련해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 과정에서 문제되는 부분을 확인하여 즉각 개선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이어 "미지급금은 모두 보상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할 것이며 더 나은 근무환경을 만들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고용노동부는 올해 국정감사에서 근로기준법 위반 의혹이 제기된 이랜드파크 브랜드 모두 360곳 매장에 대한 근로감독에서 이같은 사실을 적발했다.

앞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정미 의원(정의당)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이랜드 외식업체인 애슐리의 꺽기와 연차수당 미지급 등 열정페이 문제를 지적하며 애슐리만이 아니라 이랜드 외식사업 전체에 대한 근로감독을 요청한 바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 의원에 요청에 따라 이랜드 외식업체 매장에 대한 근로감독에 나섰다. 1차(10월6~13일) 조사에서 휴업수당·연차수당 미지급 등 법 위반이 공통으로 확인했다. 이를 전체 매장으로 확대하는 2차(10월27일~12월9일)조사를 진행했다. 

근로감독 결과 2015년10월1일부터 2016년9월30일까지 이랜드파크가 보유한 외식업체 매장 360개를 근로감독을 한 결과 모두 4만4360명의 근로자에 대해 임금과 수당 83억7200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랜드파크의 주요 법 위반 내용은 연차수당 미지급, 임금꺾기, 강제조퇴 등 편법적 인력 운영을 했으며 임금 체불에 휴식시간 미제공 등 노동관련법도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오후 10시 이후 근로시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지급하는 '야간수당'과 교육시간,분 단위 근로시간 등에 대한 '임금'도 주지 않았다. 약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면 줘야하는 '연장수당'도 지급하지 않았다.

금액으로는 휴업수당 31억6900만원, 연장수당 23억500만원, 연차수당 20억6800만원, 임금 4억2200만원, 야간수당 4억800만원 등이다.

이정미 의원은 이번 근로감독에 대해 "애슐리 등 이랜드 외식사업부가 아르바이트 임금 떼어서 업계 1위가 됐다는 것이 바로 청년 노동의 현실이자, 재벌들의 현실"이라며 "아직도 노동부가 확인하지 못한 추가제보가 더 있고 검토를 마치면 불법노동관행 근절시키기 위해 제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이랜드는 노동자와 국민들에게 그룹 차원에서 사과하고 철저한 재발방지 대책을 내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랜드파크는 이랜드그룹 내에서 외식업을 운영하는 회사로 자연별곡·애슐리·상하오 등 24개 브랜드를 갖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