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이통3사 알뜰폰도 '삼국지'…중소사업자 강력 반발

반응형

9일부터 이동통신 3사의 알뜰폰(MVNO삼국지가 펼쳐진다. 기존 중소 사업자들과 시민단체는 대기업의 시장 잠식을 우려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자회사 KTIS와 미디어로그를 통한 알뜰폰 진출을 8일 알렸다. KT는 'M모바일', LG유플러스는 '유모비'란 알뜰폰 브랜드로 9일부터서비스를 시작한다. SK텔레콤의 경우 SK텔링크를 통해 지난해 1월부터 '세븐 모바일'이란 알뜰폰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알뜰폰 누적가입자 248만명 대비 28개 알뜰폰사가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1개 알뜰폰 사업자 평균 가입자 수는 8만8500명이다. 

통신비 경감이란 정부 기조 속에 출범한 알뜰폰은 기존 이동통신망의 주파수를 빌려 서비스한다. 이 때문에 망 구축 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일반 이통사 요금보다 30~50% 저렴한 장점이 있다. 불필요한 이벤트와 요금 거품도 없앴다. 서비스 모델이 많지는 않지만 피처폰이나 3G폰을 많이 사용하는 중장년층으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비를 아끼기 위해 알뜰폰을 사용하는 젊은층도 늘어나고 있다. 

알뜰폰은 중소 통신 사업자들의 성장을 마련한다는 고무적인 취지도 있었다. 하지만 알뜰폰 시장 규모자 커지면서 대기업 자본 진출이 증가하더니 이통3사까지 직접 알뜰폰 진출을 기정 사실화했다.

▲ KT는 주력 계열사 KTIS를 통해 알뜰폰 브랜드 'M모바일'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같은날 LG유플러스도 알뜰폰 진출을 알렸다. /KTIS 제공

이통3사가 알뜰폰 시장에서 격돌하게 되자 중소 사업자들의 반발은 커지고 있다. 

통신 재벌이 알뜰폰에 진출하면 중소 사업자 중심의 알뜰폰 취지가 무색해지면서 공정 경쟁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이미 일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이통사 알뜰폰 사업 철수 운동 움직임마저 일어나고 있다.

알뜰폰 관계자는 "통신 3사의 지배력이 알뜰폰 시장에 그대로 내려오는 셈"이라며 "이통사의 전이력을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 전체 이통시장을 통신3사가 다 먹겠다는 의미아니냐"고 말했다. 또 "이통사의 알뜰폰 시장 진출은 결국 점유율을 지키는 수법"이라며 "이통사는 고가 시장, 알뜰폰은 저가 시장이란 구분이 있는데 이통3사가 알뜰폰 시장에 들어오면 이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통신 시장 자체가 이통3사에 잠식된다"고 말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성명을 내고 "통신망을 보유하지 않은 사업자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경쟁활성화'를 통한 '통신비 인하'라는 정부의 알뜰폰 도입의 근본 취지에 위배된다"면서 "굳이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이통사가 자회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알뜰폰에 진입함으로써 실질적인 알뜰폰 사업자들의 부실 및 도산 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대기업 계열 알뜰폰 관계자는 "우리도 힘든데 중소 사업자는 더 힘들 것"이라며 "미래창조과학부가 이통3사의 알뜰폰 진출을 허가하면서 제시한 규제가 잘 지켜지는지 철저하게 감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통3사의 알뜰폰 사업을 두고 진통이 심화되는 가운데 이날 알뜰폰 진출을 발표한 KT와 LG유플러스는 강한 마케팅 포부를 밝혔다.

KTIS 측은 "KT 및 KT계열 알뜰폰 고객 모두를 무제한 음성통화 대상으로 적용하겠다"면서 전천후 사업 계획을 내비쳤다. LG유플러스 미디어로그 알뜰폰 담당자는 "알뜰폰 고객들 중에서도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LTE고객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