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양성운 기자] 지금 한국경제는 사면초가다.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이 동시 파업을 선언한 가운데 국내 산업계에 파업 분위기가 도미노 현상처럼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금융·공공부문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조선·자동차 노동자들이 20일 총파업을 진행함에 따라 노사간 전운이 돌고 있다. 여기에 각사 노조들이 연대하면서 산업계 전체에 악영향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노조의 연쇄 파업은 경제여건이 대내외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모습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에서 기본급 15만2050원(7.2%) 인상과 함께 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대차의 평균연봉은 9600만원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세계 1위 자동차업체인 일본 도요타는 7961만원(852만엔), 2위 독일 폴크스바겐은 7841만원(6만2473유로)으로 현대차 임금의 82~83%에 불과하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올해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노조 파업으로 인해 판매 둔화는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임금과 단체협약 과정에서 회사가 불성실하게 임했다는 이유를 들어 쟁의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회사가 경영난 극복을 위해 진행하는 구조조정을 문제삼아 파업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 업계에서는 명분없는 파업이라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두 노조가 23년 만에 연대 파업에 돌입한 것은 기득권 노조의 집단이기주의"라며 "노사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국내 경제 침체도 장기화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대차 노조는 1987년 노조 설립 이래 29년 동안 1994년, 2009년, 2010년, 2011년 4년을 제외하고 25년을 파업했다. 그동안 파업으로 인한 자동차 생산차질 대수만 125만여 대, 생산차질액은 14조2000여 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을 시작으로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 3사 노조도 19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노조는 지난 11일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사후조정' 신청을 해 합법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했다. 다만 노조가 20일에 전면 파업을 강행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회사 채권단이 노조가 파업하면 지원금 4조 2000억원 가운데 아직 집행하지 않은 1조원 가량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 이 때문에 20일 파업에는 간부들 위주로 참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삼성중 노협도 20일 조선노연 총파업에 합류한다. 노협은 사측 자구안에 반발해 지난달 28일 노협 소속 근로자를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해 투표 참여자 92%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다.
총파업이 가결되면 지부별 순회집회, 지부 합동대의원대회 등을 거쳐 9월 중 총파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전국공무원노조,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전국교직원노조 등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9월 27일 무기한 전면 파업을 선언했다.
이 같은 노조의 연쇄 파업에 대해 전문가들은 "파업은 노조와 회사가 공멸하는 길"이라며 "대화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파업은 노조의 고유 권한이지만, 그 파업이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라며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파업을 되풀이한다면 장기적으로는 노조의 세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마을 학부모 집단 성폭행' 비공개로 재판 진행 (0) | 2016.07.21 |
---|---|
8~10월 전국 아파트 7만1406가구 입주 예정 (0) | 2016.07.20 |
러시아, 올림픽 출전 못하나? IOC 법적 검토 들어가 (0) | 2016.07.20 |
스타벅스, 21~23일 개점 17주년 기념 '해피아워' 진행 (0) | 2016.07.20 |
'성완종 리스트' 이완구 내달 마지막 재판…9월 항소심 선고 (0) | 2016.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