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조선업 불황속, 협력中企 10곳중 6곳 '3년 버티기 힘들다.'

반응형



[메트로신문 김승호 기자]조선업 불황이 이어지면서 협력중소기업들 10곳 가운데 6곳 가량은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경우 3년 이상을 버티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등에 비해 기술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보면서도 대형조선사 구조조정으로 매출 감소, 인력 축소 등 악영향 때문에 자칫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다.

3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이달 16∼23일 대형조선사 협력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57.6%가 불황이 이어질 경우 3년 이상 회사를 유지할 여력이 없다고 답했다. 계속 생존이 가능한 업체는 26%에 그쳤다.

응답 업체의 70.7%는 최근 3년간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답했는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30%에 달했다. 같은 기간 근로 인원이 줄었다고 응답한 업체도 전체의 43.0%(감원율 29.0%)였다.

이런 상황에서도 자체 평가하고 있는 기술력은 충분했다.

중소 협력사들은 국내 업체들이 중국보다 기술 면에서 3.2년가량 앞서있다고 분석했다. 응답 업체의 35.7%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충분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65.1%는 조선업 경기가 3년내 회복될 것을 확신했다.

정부의 실질적 지원 정책 확대로 3년만 버티면 살아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현재 가장 필요한 금융지원(복수응답)으로는 ▲추가대출 지원(긴급경영안정자금·44.0%) ▲대출금 상환기한 연장(4.02%) ▲대출 시 특례보증(40.3%) 등을 꼽았다. 인력·실업 지원으로는 ▲사업전환지원(36.0%)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35.5%)을 원하는 기업이 많았다.

한국 조선업의 성장 방향에 대한 질문에는 드릴십, LNG선박 등 고가 기술집약선박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59.3%로 압도적이었다. 해양 플랜트 분야(35%)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중기중앙회 유영호 산업지원본부장은 "대형조선사에는 막대한 공적자금과 구제방안이 적용되지만 중소 협력기업에 대한 지원책은 미흡하다"며 "세계적 기술력을 쌓아 온 우리 조선 기자재 산업이 대외 요인으로 붕괴된다면 국가적 손실이기 때문에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청은 경영난을 겪는 조선업 협력업체를 비롯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해 이달 4일부터 10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원대상은 구조조정 대상 조선사의 1차 협력기업과 조선사 소재 지역(부산·울산·경남·전남지역 중 구조조정 조선기업이 있는 11개 기초자치단체)내 소기업·소상공인이다.

협력기업은 최고 2억원, 소기업·소상공인은 최고 5000만원을 최장 5년간 지원받을 수 있으며 금리는 거치기간과 상환방식에 따라 연 2.7∼2.9%, 보증비율은 100%다.

중기청은 기존에 받은 보증 기한이 올해 끝나는 조선업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의 경우 원금상환 없이 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대출금·이자 상환을 연체해 보증사고가 발생한 조선업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채권보전 조치를 올해 말까지 유보하기로 했다.

지원을 받으려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전국 16개 지역신용보증재단(1588-7365)과 기업·농협·우리·부산·대구·경남·광주은행 지점에서 신청하면 된다.

반응형